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청나일강파타스원숭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청나일강파타스원숭이
Remove ads

청나일강파타스원숭이 또는 휴글린파타스원숭이(Erythrocebus poliophaeus)는 에티오피아수단 그리고 잠재적으로 남수단 청나일강 계곡을 따라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구세계원숭이의 일종이다. 1862년에 처음 보고되었지만, 1927년에 커먼파타스원숭이와 같은 종으로 분류되었다. 2017년 연구에서는 청나일강파타스원숭이를 별도의 종으로 재분류했다.[2][3][4]

간략 정보 청나일강파타스원숭이, 생물 분류ℹ️ ...
Remove ads

분류학

Thumb
루트비히 라이헨바흐의 삽화

청나일강파타스원숭이는 1862년 하인리히 고틀리브 루트비히 라이헨바흐(Heinrich Gottlieb Ludwig Reichenbach)가 처음 기재했다. 라이헨바흐가 파조글리에서 포획한 살아있는 표본과 백나일강 부근에서 수집한 가죽 표본을 기반으로 기재했고, 두 표본 모두 테오도르 폰 호이글린(Theodor von Heuglin)이 카이로에서 포획한 성체를 통해 청나일강파타스원숭이가 뚜렷이 구별되는 종이라는 것을 확인했다.[5] 그러나 슈워츠(1927년)가 최초로 널리 채택한 파타스원숭이속 분류법에서는 모든 파타스원숭이를 단형속을 형성하는 세 개의 아종 파타스(patas), 피로노투스(pyrrhonotus), 바움스타르키(baumstarki)로 분류했다. 이로 인해 청나일강파타스원숭이를 커먼파타스원숭이의 이명으로 지정했다.[4] 2017년 스파르타쿠스 기폴리티(Spartaco Gippoliti)는 독특한 외관과 커먼파타스원숭이와의 눈에 띄는 지리적 분리를 기반으로 청나일강파타스원숭이를 별도의 종으로 부활시켰으며 IUCN 적색 목록과 미국 포유류 학회도 이를 별개의 종으로 인정했다.[4][6]

연구자들은 전통적으로 수단과 에티오피아, 케냐, 우간다를 포함한 북동부 아프리카의 모든 파타스원숭이를 동부파타스원숭이로 간주해왔다. 기폴리티는 에티오피아 북서부와 수단 동부에서 발견되는 개체군에는 poliophaeus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았다.[4]

Remove ads

분포

나일강대구대 서쪽 경사면 사이 지역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메템마 인근 지역에서 남쪽으로 수드강까지 분포한다. 에티오피아수단에서만 알려져 있지만, 남수단에서도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1]

선사 시대에는 에티오피아 서부의 산악 피난처에 서식하며, 그곳에서 일정 기간의 건조화 기간을 견뎌냈을 가능성이 있다.[4]

특징

윗입술 털에 흰색 털이 나 있어 핸들바 콧수염 모양을 하고 있다. 이는 파타스원숭이속의 다른 종에서 발견되는 귀와 눈 사이의 띠가 없다는 점과 결합되어 파타스원숭이속의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3]

보전 상태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이 종에 대한 역사적 자료와 박물관 자료 표본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이 종이 그곳에서 흔하게 발견된 적이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구체적인 위협 요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서식지 내 인간 활동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1980년대 마을화 프로그램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계획된 마을로 강제 이주되었으며, 여기에는 청나일강파타스원숭이의 제한된 서식지 내에 건설된 마을도 포함된다. 이후 청나일강파타스원숭이 서식지에서 주택 개발과 농업 확장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 종은 심각한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살아있는 동물의 불법적인 야생동물 거래 또한 이 종을 위협하고 있으며, 급격한 개체수 감소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나일강파타스원숭이의 분포 지역이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아 정보부족종으로 분류한다.[4][1]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