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딱지개미반날개 (Paederus fuscipes )는 반날개과 에 속하는 딱정벌레류 이다. 7mm 정도의 작은 곤충이며 색깔은 검고 붉고 배 중간은 푸르다.[ 1] 해충 을 잡아먹는 익충 이며 봄 부터 가을 까지 활동한다.[ 2] 북아메리카 를 제외한 전 지역에 분포한다.[ 3]
간략 정보 청딱지개미반날개, 생물 분류ℹ️ ...
청딱지개미반날개
생물 분류 ℹ️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곤충강
목:
딱정벌레목
아목:
풍뎅이아목
하목:
반날개하목
상과:
반날개상과
과:
반날개과
속:
개미반날개속
종:
청딱지개미반날개
학명
Paederus fuscipes
Curtis, 1826
학명이명
Paederus abyssinicus Cameron, 1950
Paederus lindbergi Fagel, 1958
Paederus aestuans Erichson, 1840
Paederus peregrinus Erichson, 1840
Paederus angolensis Erichson, 1843
Paederus erichsoni Wollaston, 1867
Paederus fennicus Sahlberg, J., 1876
Paederus longipennis Erichson, 1839
Paederus corsicus Gautier des Cottes, 1862
Paederus idae Sharp, 1874
Paederus breviceps Bernhauer, 1902
Paederus densipennis Bernhauer, 1916
Paederus kalalovae Roubal, 1932
Paederus mayumbeanus Cameron, 1939
Paederus (Heteropaederus) iliensis Coiffait, 1970
Paederus goudoti Laporte de Castelnau, 1840
Paederus proditor Lecoq, 1993
Paederus (Heteropaederus) sinensis Scheerpeltz, 1957
Paederus chinensis Bernhauer, 1934
닫기
페데린의 화학 구조
청딱지개미반날개에 접촉하면 청딱지개미반날개가 분비하는 독성 물질인 페데린 (pederin)에 의해서 마치 화상 을 입은 것처럼 발진 , 물집 , 수포 가 일어나고 2주 뒤에 사라진다.[ 4] 피부 가 건조할 때보다 땀 이 나 있을 때 증상이 심하고 일단 피부에 페데린이 분비되었다면 흐르는 물에 접촉한 부위를 씻는 것이 좋다.[ 5]
대한민국 에서는 1968년, 1969년, 1994년, 1999년에 발생했고[ 6] 2019년에 전라북도 완주군 에서 나타났으며[ 7] 2023년에 전라북도 새만금 에서 대량발생했다.[ 8] 새만금에서 열린 제25회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에서 많은 스카우트 대원들이 청딱지개미반날개에 접촉하고 염증 과 통증 이 생기는 사건이 발생했다.[ 9] 청딱지개미반날개의 유전자 를 분석한 결과 외래종 이 아닌 토착종으로 밝혀졌다.[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