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서울 청룡사 지장시왕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서울 청룡사 지장시왕도(서울 靑龍寺 地藏十王圖)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2005년 12월 29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201호로 지정되었다.[1]
Remove ads
개요
청룡사 지장시왕도는 1868년 정기비구니(正基比丘尼)의 발원으로 현왕도, 칠성도 등과 함께 조성되어 극락전에 봉안되었다고 전해지는 것으로, 금어 응륜(金魚應嗧)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 작품은 화면의 중앙, 커다란 반원형의 광배 안에 지장보살과 무독귀왕, 도명존자 등 지장보살삼존을 배치하고 그 좌우로 시왕, 그리고 지장삼존의 아래쪽에 사자, 판관 등을 배치한 특이한 구도를 보여준다.[1]
또한,1867년에 경선이 조성한 서울 보문사 지장시왕도와 동일한 초본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광배의 내부를 금색으로 칠한 점을 비롯하여 인물의 상호에 보이는 적극적인 음영법 등 19세기말 ~ 20세기 전반에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하던 불화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다. 서울 지역 불화유파의 사승관계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작품이다.[1]
Remove ads
각주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