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靑磁 陰刻牡丹 象嵌襆紗文 有蓋梅甁)은 음각으로 모란을 새기고, 상감 기법으로 보자기 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뚜껑 있는 매병[주해 1]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342호로 지정되었다.
Remove ads
개요
각진 입과 짧은 목, 어깨에서부터 풍만하게 벌어졌다 S자 곡선을 이루며 저부에 이른 모습의 매병으로, 각접시 모양의 뚜껑이 있다.
문양은 매병 입 언저리를 보자기로 덮은 모습의 국당초문을 주요 문양으로 한 흑백상감의 정사각형 비단보자기문양을 덮은 장식이다. 몸체의 4면에는 각기 모란절지 하나씩이 가늘게 음각되었으며, 밑 부분에는 운두산형문이 뇌문대와 함께 장식되어 있다.
주해
- 매병이란 병의 아가리가 좁고 몸의 어깨는 넓으며 아래로 갈수록 홀쭉해지는 병을 말한다.
참고 자료
-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