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靑磁 鐵彩堆花蔘葉文 梅甁)은 철채[주해 1]를 칠하고 퇴화 기법[주해 2]으로 삼[주해 3] 잎 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매병[주해 4]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340호로 지정되었다.
Remove ads
형태
입 부분이 각 지고, 짧은 목에 어깨에서 급히 벌어졌다 좁아져 세워진 모습이다. 태토 위에 철채를 칠한 후 삼엽문을 새기고 백토를 감입한 후 청자유를 씌워 구운 것으로, 짙은 철채와 백상감의 색이 강하게 대비되는 특별한 작품이다.
철채가 칠해진 얇은 곳은 다갈색, 녹황색, 철정색으로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대체로 검푸르게 색깔을 발하고 있다.
특징
이러한 철채청자는 그 예가 매우 드물며, 강진 사당리요, 해남 진산리요 등에서 청자와 함께 제작한 것으로, 12세기 후반 새로운 기법의 개성있는 청자의 제작 요구에 따라 일부 제작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같이 보기
주해
참고 문헌
- 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