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청주 신봉동 고분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청주 신봉동 고분군(淸州 新鳳洞 古墳群)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고분군이다. 1987년 7월 18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319호로 지정되었다.
Remove ads
개요
청주시내를 남동에서 북서쪽으로 가로질러 흐르는 무심천 서북쪽 기슭의 동쪽 비탈진 곳에 분포하고 있다.
107기의 고분이 조사되었는데 106기는 흙을 판 후 무덤을 쓴 널무덤(토광묘)이고, 1기는 널방과 널길을 가진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분)이다. 널무덤은 야산 전체에 걸쳐 분포하며, 봉분은 거의 깎여 나가 남아있지 않다. 출토 유물로는 여러 가지 토기류·옥과 같은 장신구류·철로 만든 칼이나 도끼같은 무기류·말갖춤(마구류)과 그 밖의 숟가락 등이 나왔다. 90-1호 널무덤에서는 갑옷이 출토되어 백제철갑의 실물을 볼 수 있어 주목되고 있다.
신봉동 고분군은 한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상당한 기간 동안 만들어진 고분군으로, 대체로 4∼5세기경의 백제 고분군이라 할 수 있다.
신봉동은 백제의 동쪽 변방지역으로 다른 유적에서 볼 수 없는 마구류·무기류가 많이 출토되어, 백제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또한 돌방무덤은 서울지역의 백제 초의 것과 공주지역의 돌방무덤과 비교되는 자료로서 평가된다.
Remove ads
참고 자료
- 청주 신봉동 고분군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