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수
의 초타원 곡선
는 항상 다음과 같은 꼴로 표현될 수 있다. 우선,
에서 아핀 좌표


를 고르자. 그렇다면, 만약
인 경우,
는 이 두 아핀 열린집합에서 다음과 같은 꼴이다.
![{\displaystyle \phi \colon K[x]\to K[x,y]/(y^{2}-P(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5ee4c44d78e4859836533579095966fab09c6dff)
![{\displaystyle {\tilde {\phi }}\colon K[{\tilde {x}}]\to K[{\tilde {x}},{\tilde {y}}]/({\tilde {y}}^{2}-{\tilde {P}}({\tilde {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b1d5e576d519a4426177c96f7ca990cef146022d)




이 경우
를 구성하는 두 아핀 열린집합은 다음과 같이 붙여진다.


즉,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begin{matrix}\displaystyle {\frac {\operatorname {Spec} K[x,y]}{(y^{2}-P(x))}}&\supset &\displaystyle {\frac {\operatorname {Spec} K[x,y]}{(y^{2}-P(x))}}\setminus {\frac {\operatorname {Spec} K[x,y]}{(x,y^{2}-P(x))}}&{\overset {y=x^{g+1}{\tilde {y}}}{\underset {{\tilde {x}}^{g+1}y={\tilde {y}}}{\cong }}}&\displaystyle {\frac {\operatorname {Spec} K[{\tilde {x}},{\tilde {y}}]}{({\tilde {y}}^{2}-{\tilde {P}}({\tilde {x}}))}}\setminus {\frac {\operatorname {Spec} K[{\tilde {x}},{\tilde {y}}]}{({\tilde {x}},{\tilde {y}}^{2}-{\tilde {P}}({\tilde {x}}))}}&\subset &\displaystyle {\frac {\operatorname {Spec} K[{\tilde {x}},{\tilde {y}}]}{({\tilde {y}}^{2}-{\tilde {P}}({\tilde {x}}))}}\\\downarrow &&\downarrow &&\downarrow &&\downarrow \\\operatorname {Spec} K[x]&\supset &\operatorname {Spec} K[x]\setminus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frac {K[x]}{(x)}}&{\underset {x=1/{\tilde {x}}}{\overset {1/x={\tilde {x}}}{\cong }}}&\operatorname {Spec} K[{\tilde {x}}]\setminus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frac {K[{\tilde {x}}]}{({\tilde {x}})}}&\subset &\operatorname {Spec} [{\tilde {x}}]\end{matri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1a4686825509ad8c0bf4044178286a33571f5c44)
표수가 2인 경우,
는 이 두 아핀 열린집합에서 다음과 같은 꼴이다.
![{\displaystyle \phi \colon K[x]\to K[x,y]/(y^{2}-Q(x)y-P(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e5b8dc577a57312ffb976932561be3cae09eacc9)
![{\displaystyle {\tilde {\phi }}\colon K[{\tilde {x}}]\to K[{\tilde {x}},{\tilde {y}}]/({\tilde {y}}^{2}-{\tilde {Q}}({\tilde {x}}){\tilde {y}}-{\tilde {P}}({\tilde {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0db1d133ed50d81b8902d953fc5847a5e65f3692)






이 경우
를 구성하는 두 아핀 열린집합은 다음과 같이 붙여진다.


즉,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begin{matrix}\displaystyle {\frac {\operatorname {Spec} K[x,y]}{(y^{2}-Q(x)y-P(x))}}&\supset &\displaystyle {\frac {\operatorname {Spec} K[x,y]}{(y^{2}-Q(x)y-P(x))}}\setminus {\frac {\operatorname {Spec} K[x,y]}{(x,y^{2}-Q(x)y-P(x))}}&{\overset {y=x^{g+1}{\tilde {y}}}{\underset {{\tilde {x}}^{g+1}y={\tilde {y}}}{\cong }}}&\displaystyle {\frac {\operatorname {Spec} K[{\tilde {x}},{\tilde {y}}]}{({\tilde {y}}^{2}-{\tilde {Q}}({\tilde {x}}){\tilde {y}}-{\tilde {Q}}({\tilde {x}}){\tilde {y}}-{\tilde {P}}({\tilde {x}}))}}\setminus {\frac {\operatorname {Spec} K[{\tilde {x}},{\tilde {y}}]}{({\tilde {x}},{\tilde {y}}^{2}-{\tilde {Q}}({\tilde {x}}){\tilde {y}}-{\tilde {P}}({\tilde {x}}))}}&\subset &\displaystyle {\frac {\operatorname {Spec} K[{\tilde {x}},{\tilde {y}}]}{({\tilde {y}}^{2}-{\tilde {Q}}({\tilde {x}}){\tilde {y}}-{\tilde {P}}({\tilde {x}}))}}\\\downarrow &&\downarrow &&\downarrow &&\downarrow \\\operatorname {Spec} K[x]&\supset &\operatorname {Spec} K[x]\setminus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frac {K[x]}{(x)}}&{\underset {x=1/{\tilde {x}}}{\overset {1/x={\tilde {x}}}{\cong }}}&\operatorname {Spec} K[{\tilde {x}}]\setminus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frac {K[{\tilde {x}}]}{({\tilde {x}})}}&\subset &\operatorname {Spec} [{\tilde {x}}]\end{matri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29278f897e3514356e1dbc4a7711d1e5cc40edb2)
표수가 2가 아닌 경우, 항상

를 통해
으로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변환을 하더라도 이로서 정의되는 초타원 곡선은 동형이다.
: 
:
, ![{\displaystyle (P,Q)\mapsto (P+f^{2}+Qf,Q)\qquad (f\in K[x],\;\deg f\leq g+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3dce924b814e541b596203d9ed35b40678deb572)
즉, 이 경우 가중 사영 공간
![{\displaystyle \mathbb {P} _{K}(1,g+1,1)=\mathbb {P} _{K}^{1}[s,t,u]}](//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0423cd9cdb53bb168e3806adc4d474dc99c328c0)
속에서 부분 대수다양체

를 이룬다. 이 경우
는
![{\displaystyle C\to \mathbb {P} _{K}^{1}=\operatorname {Proj} K[s,u]}](//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2fc36feedc6202be4728ed6a832614c4212c4f8d)
![{\displaystyle [s:t:u]\mapsto [s:u]}](//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a1981c0454004ad6ae6f1c75cf54b8b706aa8bdc)
이다.
분지점
표주가 2가 아닌 대수적으로 닫힌 체인 경우, 이러한 사상
는 짝수 개의 분지점을 갖는다. (분지점은
의 닫힌 점
가운데, 올
이 하나의 점만으로 구성된 경우이다. 분지점이 아니라면,
는 항상 두 개의 점으로 구성된다.)
표수가 2가 아닌 대수적으로 닫힌 체의 경우, 분지점은
의 사영 공간에서의 근이다. 즉,
라면, 분지점은
의
개의 근이다.
라면, 분지점은
의
개의 근 및
이다.
이는 가중 사영 공간에서 대합
![{\displaystyle [s,t,u]\mapsto [s,-t,u]}](//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075d747a97e816dbccbe3c95323e5212e63ed975)
의 고정점이다.
표수가 2인 대수적으로 닫힌 체의 경우, 분지점은
의 근이다. 이는 가중 사영 공간에서 대합
![{\displaystyle [s,t,u]\mapsto [s,t+Q(s/u)u^{g+1},u]}](//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c226a4515dc2267e0101d6415ecbe33df77e823b)
의 고정점이다.
다음 조건이 주어졌다고 하자.
- 분지점의 수가
라고 할 때,
이다.
이 경우,
위에서
는 다음과 같은 꼴이 된다.

![{\displaystyle f\in K[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e5bfd4edcab09e8a6993a8ab40d08c5e8d630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