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최대 지반 속도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지반이 움직인 최대 속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최대 지반 속도(Peak Ground Velocity)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지반이 움직인 최대 속도를 말한다. 단위는 cm/s이다. 줄여서 PGV로도 나타낼 수 있다.

최대 지반 가속도(PGA)와 최대 지반 속도(PGV)는 진도와 관련이 있다. 최대 지반 가속도와 최대 지반 속도는 통상적으로 진앙에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약해지며,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강해진다.

진도와의 관계

수정 메르칼리 진도

대한민국 기상청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지진계에서 산출되는 정량적인 값인 최대 지반 가속도(PGA)와 최대 지반 속도(PGV)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인데, PGV와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사이 관계식은 아래와 같다.[1]

최대 지반 속도와 진도의 관계 (PGV= cm/s)
  • MMI = 2.1939 log(PGV) + 5.0918 (진도 V 이하)
  • MMI = 2.4686 log(PGV) + 5.0996 (진도 V 이상)

위 공식에 따른 관계 분포는 아래와 같다.

자세한 정보 진도, 최대 지반 가속도 (단위: %g=9.81cm/sec2) ...

일본 기상청 진도

일본 기상청에서 사용하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은 원칙적으로 '계측진도'를 가지고 측정하지만 이를 비교할 때 PGV와의 관계가 더 높다는 연구도 존재한다.[2] 예를 들어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지진조사위원회의 보고서인 "전국 개관 지진동 예측 지도"에서는 미도리카와(翠川, 1999) 등 최대 지반 속도에서 진도의 환산식을 표층지반증폭률의 분포 등과 종합하여 추정 진도를 계산하였다.[3]

Remove ads

주요 지진의 PGV

자세한 정보 PGV (최대), 규모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