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최문병 의병장 안장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최문병 의병장 안장
Remove ads

최문병 의병장 안장(崔文炳義兵將鞍裝)은 1983년 5월 7일 보물 제747호로 지정되었다. 경산시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자인지역에서 최문병의병을 모집, 스스로 의병장이 된 후 왜적을 물리칠 때 사용했던 안장이다. 현재까지 당시의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Remove ads

개요

최문병 의병장 안장(崔文炳 義兵將 鞍裝)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최문병이 사용한 말안장으로 크기는 56×39×34㎝이고, 안장(鞍裝)자리 크기는 105×26㎝이다.

안장의 앞뒤로 돌출된 부분인 안교(鞍橋)는 나무로 윤곽을 잡았고, 뼈를 이용해 안장가리개(복륜)를 붙였으며, 쇠로 고정시켰다. 안교 바깥쪽은 고슴도치 가죽을 씌우고, 세 곳에 뼈조각으로 꽃모양을 만들어 붙였다. 안교 아래쪽은 둥글게 파내고 테두리를 뼈조각들로 붙였다. 말다래가 달린 안장자리는 가죽으로 만들었다. 발걸이(등자)는 철제이고, 발디딤은 원형으로 되었으며 배띠와 고들개는 (麻)와 면직물로 되어 있다.

이 안장은 등자·배띠·고들개 등의 부속구를 모두 갖추고 있고, 보존상태가 양호한 희귀한 말갖춤(마구)으로서 그 가치가 있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emove ad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