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최형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최형찬(1967년~)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다. 2024년 8월부터 제39대 국립외교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1] 윤석열 정부 시기에는 네덜란드 주재 대한민국 대사와 OPCW 상주대표를 겸임했고,[2][3] 그 이전에는 주세르비아 대사, 국방부 국제정책관 등을 역임했다.[4] 국립외교원장 임명은 2024년 7월 31일자 발표로, 전임 박철희가 주일본 대사로 전보되면서 후임으로 보임되었다.[5]

간략 정보 최형찬, 취임일 ...
간략 정보 최형찬 ...
Remove ads

생애와 학력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6]

주요 활동

네덜란드·국제기구 협력

주네덜란드 대사 겸 OPCW 상주대표 재임 중 한-OPCW 협력을 확대하였다. 2024년 1월과 7월에 각각 OPCW 역량강화·평화적 이용 분야와 인공지능 주제 회의 지원을 위한 대한민국의 공여가 공식화되었고, 최형찬은 상주대표 자격으로 서명식에 참여했다.[7][8] 2024년 7월 OPCW 집행이사회(EC-106)에는 상주대표 명의의 발언문이 등재되었다.[9] 네덜란드 현지에서는 국제형사재판소(ICC) 재판관 취임 선서식 참석(2024년 3월 8일),[10] 한국 기업 채용박람회 참석(2024년 4월 9일), 현지 문화행사 지원 등을 수행했다.[11][12] 또한 2023년 11월에는 레이던대학교에 총리 표창을 전달하는 등 학술 교류를 지원했다.[13]

교육·정책연구(국립외교원)

2024년 8월 원장 취임 후 국립외교원의 교육·정책행사를 주관하고, 대내외 협력 네트워크 확대와 포럼 운영을 총괄하고 있다.[1] 같은 달 아시아 교류·신뢰구축회의(CICA) 사무총장의 방한 계기 면담이 이루어졌으며, 국립외교원의 다자외교 협력 플랫폼 참여가 논의되었다.[14][15]

Remove ads

정책 방향

재외공관 실무와 안보·국방 외교, 정책조정을 모두 경험한 경력을 바탕으로, 교육(외교관 양성)과 정책연구의 연계를 강조하는 실무 중심 운영 기조를 보인다.[6]

평가

국내 주요 언론은 그를 외교·안보 양 영역에 정통한 실무형 인사로 평가한다.[6]

논란 및 사건

2023년 12월 네덜란드 측 회동

2023년 12월 15일, 대통령 국빈 방문 직전 네덜란드 정부가 주네덜란드 대한민국 대사를 초치했다는 기사가 공개되었다. 외교부는 같은 날 해당 만남을 국빈 방문 세부 조율을 위한 통상적 협의로 밝혔다.[16][17][18]

경력

  • 1990년: 제24회 외무고시 합격, 외무부(현 외교부) 입부.[6]
  • 1990년대~2010년대 초: 본부 보직 및 재외근무(주이스라엘 2등서기관, 주중국 1등서기관, 주베트남 공사참사관, 외교통상부 재외공관담당관·한미안보협력과장, 주미국·주이라크 공사참사관 등).[6]
  • 2015년 3월: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NSC 사무처 선임행정관(파견).[6]
  • 2016년 10월 24일 ~ 2018년경: 국방부 국방정책실 국제정책관.[4]
  • 2019년 ~ 2022년: 주세르비아 대사(베오그라드).[19][20]
  • 2023년 5월 31일: 주네덜란드 대사로 네덜란드 국왕에 신임장 제정(헤이그).[2]
  • 2023년 6월 8일: OPCW 상주대표로 신임장 제정.[3]
  • 2024년 7월 31일: 국립외교원장 임명 발표(차관급).[5]
  • 2024년 8월 5일: 국립외교원장 취임식.[1]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