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추저우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추저우시
Remove ads

추저우(한국어: 저주, 중국어: 滁州, 병음: Chúzhōu)는 안후이성 동쪽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간략 정보 행정 단위, 청사소재지 ...

지리

서쪽으로 허페이, 북쪽으로 벙부, 남쪽으로 차오후, 동쪽으로 장쑤성과 접한다.

기후

자세한 정보 추저우시의 기후, 월 ...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수나라 이전

추저우시 취안자오현일대에 전초현(全椒縣), 그리고 그 동쪽에 부릉현(阜陵縣)이 있었는데, 이 현들은 모두 구강군에 속했다. 추저우 시는 전초현의 일부에 속했다.

남북조시대473년(유송 후폐제 원휘 원년), 송나라가 지금의 푸양시 칭펑현 남부에 있던 돈구현(頓丘縣)이 랑야구 서문가도 일대에 교치되면서 추저우에 군현이 설치되기 시작했다. 이 돈구현에선 신창군(新昌郡)이 설치되었다. 양나라에서 신창군은 영양군으로 개명되었고 536년(양 무제 대동 2년), 영양군에 남초주(南譙州)가 설치되었다.

581년(수 문제 개황 원년), 초주는 저주(滁州)로 개명되었고 속군이었던 신창군이 폐지되었다. 그리고 낙거현(樂鉅縣), 고당현(高塘縣)이 돈구현에 통폐합되고 돈구현은 신창현(新昌縣)으로 개명되었다. 598년(수 문제 개황 8년) 신창현은 청류현(淸流縣)으로 개명되었고, 수 양제집권 초기, 군현제가 재실시됨에 따라 강도군에 통폐합되었다.[3]

620년(당 고조 무덕 3년), 회남지방을 통치한 군벌 두복위가 당에 투항함에 따라 당나라로 편입되었다. 강도군 청류현은 다시 저주(滁州)로 다시 분리되었고 전초현(全椒縣)이 내속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가 실시됨에 따라 영양군(永陽郡)으로 개명되었으나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로 복귀함에 따라 저주로 돌아갔다. 초창기에는 2현 4,689호 21,535명을 거느렸으나 천보연간에는 3현 26,486호 152,374명을 거느리게 되었다.[4]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급은 上급으로 군명은 영양군이었고 군사(軍事)가 파견되었다. 남송초인 건염연간에 저,호주진무사(滁,濠鎮撫使)가 일시적으로 설치되었다. 송 이종때인 가희연간에 왕가사(王家沙)의 치소가 옮겨졌다가 1264년(송 이종 경정 5년)원래의 치소로 옮겨졌다. 숭녕연간에는 40,026호 97,089명을 거느렸고 견(絹)을 공납으로 바쳤다. 속현은 당나라때와 같았다.[5]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주급은 下급이었다. 1278년( 쿠빌라이 칸 지원 15년), 저주로총관부(滁州路總管府)로 분리되었다. 1283년(원 쿠빌라이 칸 지원 20년) 양주로에 속주로 편입되었다. 3현을 통치했다.[6]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1912년에 현이 설치되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하면서 시에는 추셴 전구(滁県専区)가 설치되어 이하에 9현을 관할했다. 1992년에 지급시로 개편되어 2구 6현을 관할했고 1993년의 톈창, 밍광이 현급시로 승격해 현재는 2구 4현 2현급시를 관할하고 있다.

행정 구역

2개의 시할구와 2개의 현급시, 4개의 현을 관할한다.

Thumb
추저우 시 현급행정구역도

시할구

현급시

교통

철도

  • 추저우 역 (중국철로고속 이용가능)
  • 추저우 북역

출신 인물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