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춘관통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춘관통고(春官通考)는 오례의 역사와 실천 예제를 편찬한 조선 후기의 서적이다. 1788년(정조 12년) 발간되었고 유의양이 왕의 명을 받들어 쓴 96권 62책의 필사본이다. 춘관지, 국조오례통편 등에 기반을 두며 조선시대 모든 국가 제례를 망라하고 있다. 제례로써 가야진사의 위상과 의식에 사용된 제기에 대한 새로운 정립을 가능하게 했다.[1] 현재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소장 중이며, 2014년 양산으로 나들이를 잠시 나온 적이 있다.
정조는 이같은 대규모 국가전례서에서 ‘예로써 다스리고 악으로써 조화를 꾀한다’는 예악사상을 새롭게 고취하였다.[2] 또, 이 의례서를 통해 가마에 대한 규정[3], 선릉의 능역을 볼 수 있다.[4]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