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칠보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칠보면(七寶面)은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면이다. 면적은 35.80 km2이고, 인구는 2009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3,743명이다.
칠보면은 삼한시대 마한 땅으로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영토로 대시산국, 신라와 고려시대에는 태산군으로서 그 명성이 높았으며 조선태종때는 태인군 고현내면, 남촌일변면 구역으로 불리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에 이 두 면을 병합하여 이 지역에 있는 칠보산 이름을 따서 칠보면이라고 하고 정읍군에 편입했다.
조선태종 16년(1416년)까지 태인군으로 현지가 현 칠보초등학교 내에 위치하였고, 1416년 이후에는 옛고을이라고 해서 고현내로 칭하고1914. 3. 1일(일제시대) 부군제 실시로 남촌일변면 일단을 병합하여 칠보산 명을따서 칠보면이라 개칭하였다.
정읍의 경주라 칭하는 칠보면은 정읍동부 산간지역으로 교통의 중심지이며, 선비 정신이 살아 숨쉬는 유교문화의 본고장으로 수려한 자연경관과 역사문화를 토대로 한 고장이다.
Remove ads
연혁
- 삼국시대 대시산군
- 통일신라 태산군
- 고려시대 태산군
- 조선시대초 태산군
- 조선태종 6년 이후 태인군 고현내
- 1914년 정읍군 칠보면(부군제 실시)
- 1955년 1월 1일 정읍시 칠보면(시군 통합)
문화재 및 관광 자원
- 정읍 무성서원- 사적 제166호
- 정읍 석탄사- 전통사찰 94호
- 정읍 무성리 삼층석탑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58호
- 정읍 무성리 석불입상-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57호
-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 보물 제 437호
- 김회련 고신왕지- 보물 제438호
- 정읍 백암리 남근석 -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 13호
- 정읍 칠보물테마유원지
행정 구역
외부 링크
- 칠보면 - 공식 웹사이트
![]() |
이 글은 한국의 지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