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칠성여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칠성여래(七星如來) 또는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는 불교의 여래 중 하나이다. 그는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좌우에 두고, 북두칠성인 칠성군과 그 보처 28숙 및 성군들을 거느리고 있다고 한다.[1] 중국 도교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며, 민간신앙과 불교가 혼합된 복잡한 형태를 띤다.
인도의 구요신앙이 중국으로 전래되었고, 도교의 북극성 신앙에 섞여 들어서 8세기 후반 ~ 9세기 초에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 신앙이 탄생하였다.[2]
<석문의범> 칠성청(七星請)에는 치성광여래와 북두칠성을 각각의 존재로 보지만,[3] 사실 '치성광'이라는 뜻은 '밝기가 유별란 빛'이라는 뜻으로 북두칠성 중에 북극성을 가리킨다.[4] 도교에서는 별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데, 이것이 불교로 편입되면서 여러 대상이 융합된 것으로 보인다.
도교에서는 북극성을 자미대제(紫微大帝)라고 부르며, 모든 복덕을 관장하는 존재로 본다. 그 아래 일월신을 두고 7개의 별에 각기 이름과 권능을 부여했다.[5] 불교 사찰에서 칠성여래를 봉안한 칠성각을 보면, 보통 탱화로 그리는데 치성광여래와 일광월광여래를 삼존불로, 7개 별은 칠여래로 의인화하여 함께 그린다.[6] 즉, 북두칠성 7개의 별에 각각 있는 7명의 부처라고 본다.
칠성여래는 비를 내려 풍년이 들게 해주고, 수명과 재물을 관장한다고 한다. 현세에서 복을 얻기 위해 기도를 하는 대상이다.[7]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