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무음

소리의 부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무음
Remove ads

무음(無音)은 소리의 부재, 곧 들리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무언(無言) 또는 침묵(沈默)이라고도 한다. 주변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가 없거나, 주의를 끌지 못할 정도로 낮은 강도의 소리가 방출되거나, 소리 생성이 중단된 상태이다. 후자의 의미는 말이나 다른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형태의 중단 또는 부재에 적용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1]

Thumb
8세기 콥트. 바르샤바 국립미술관.

의식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침묵의 간격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종교 분야에서 사람들은 영적 변화를 위한 금욕적 수단으로 오랜 기간 동안, 심지어 남은 생애 동안 침묵을 유지한다.

소리를 내지 말라는 의미로 '쉿' 또는 '쉬'라는 감탄사를 사용한다.

Remove ads

예시

영화

음악

언어

연극

선불교

정신의학

관련 논문

2000년대

  • 배경진, 〈침묵의 기능: 셰익스피어 드라마와 르네상스 소네트를 중심으로〉,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13-1,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04
  • 최영주, 〈베케트 연극 속 침묵의 시학- “침묵하는 것을 듣다” -〉, 《한국연극학》 22, 한국연극학회, 2004
  • 허영주, 〈교사의 의사소통적 침묵의 교육적 기능과 의미〉, 《교육방법연구》 19-1, 한국교육방법학회, 2007
  • 이광운, 〈휘트먼의 시에 나타난 침묵의 시적 의미〉, 《현대영어영문학》 51-3,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07
  • 정형호, 〈한국 탈놀이에 나타난 무언의 의미와 기능〉, 《공연문화연구》 14호, 한국공연문화학회, 2007
  • 김원, 〈서벌턴은 왜 침묵하는가? - 구술, 기억 그리고 재현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7-1,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2010년대

  • 김인택, 〈의사소통 과정에서 ‘침묵’ 행위의 사회·문화론적 해석〉, 《코기토》 69,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 서동은, 〈철학 상담에 있어 침묵의 역할에 대하여〉, 《현대유럽철학연구》 28, 한국하이데거학회, 2012
  • 장영희, 〈비언어 의사소통으로서의 침묵의 기능과 의미 분석을 통한 유형 분류〉, 《어문론집》 50, 중앙어문학회, 2012
  • 박선진, 〈레오니트 안드레예프(Л.Н. Андреев)의 희곡에 나타난 지문 ‘침묵’의 기능 연구 - 《예카테리나 이바노브나 (Екатерина Ивановна)》를 중심으로 -〉, 《노어노문학》 25-2,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 안성진, 〈침묵을 통해 바라본 십자가의 성 요한의 영성〉, 대전가톨릭대학교 신학과 실천신학 석사학위논문, 2014
  • 함재학, 〈침묵할 자유와 강제된 사과에 관한 헌법사상적 고찰〉, 《헌법학연구》 22-2, 한국헌법학회, 2016
  • 권희수, 〈무대에 나타난 침묵의 형상 : 모리스 블랑쇼의 사상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미디어아트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7
  • 문영식, 〈아우구스티누스의 능변과 침묵〉, 《철학논총》 94, 새한철학회, 2018
  • 이채린·김세현·허태균, 〈무언(無言)은 무념(無念)일까? : 침묵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언어학》 27-1, 한국사회언어학회, 2019
  • 하영유, 〈미술 교육에서 침묵과 몸 언어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체험 연구〉, 《조형교육》 70,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2020년대

  • 석형락, 〈못 들은 척과 침묵 -김유정 문학에서 듣기의 양상과 그 의미〉, 《현대소설연구》 88,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
  • 박주형, 〈정지용 시에서 침묵의 언어적 재현에 대한 고찰 -시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94, 우리말글학회, 2022
  • 김영진, 〈유마경의 격발성 언어 기교와 침묵의 대화법〉, 《동아시아불교문화》 59,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 문희경, 〈그림책에 나타난 침묵의 미학적 기능 연구〉, 《한국아동문학연구》 47, 한국아동문학학회, 2023
  • 백은미, 〈여성의 영적 성숙을 위한 침묵 수행〉, 《신학과 실천》 91, 한국실천신학회, 2024
  • 고대유·한명성, 〈집단주의 문화 및 조직 특성을 통한 침묵 유형 간의 차별성 조명- 체념적・방어적 침묵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학보》 22-1, 한국지방행정학회, 2025
  • 김화경, 〈초연결 사회와 과잉의 디스토피아 - ‘침묵하기’를 통해 살펴본 인간다움에 대한 질문 -〉, 《동학학보》 73, 동학학회, 2025
  • 조홍진, 〈‘침묵’의 해석 - 사회사/역사사회학의 사료에서 드러나지 않는 목소리와 그 함의〉, 《사회와 역사(옛 한국 사회사학회 논문집)》 145, 한국사회사학회, 2025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