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칼라마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칼라마족은 철기 시대 남아시아 북동부에 존재했던 고대 인도아리아인 부족이다. 칼라마족은 칼라마 공화국이라고 불리는 가나상가(귀족 과두 공화국)으로 조직되었다.[1]
어원
칼라마족의 어원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
칼라마족의 수도 케사풋타의 이름은 "털" 또는 "갈기"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인 케샤에서 유래했다. 케사풋타라는 이름은 사타파타 브라마나에 언급된 판찰라족의 하위 부족이었던 케신족과 관련이 있다.[1]
위치
칼라마족의 수도인 케사풋타[2]는 북쪽의 사라유강과 말라족, 남쪽의 갠지스강, 남서쪽의 바라나시, 서쪽의 코살라 사이의 인더스-갠지스 평원에 위치해 있었다.[1] 칼라마족의 영토는 마을 주변의 시골 지역만 포함되었다.[1]
역사
칼라마족은 대마가다 문화권의 동부 갠지스 평원에 있는 인도아리아 부족이다.[3][4] 칼라마족은 판찰라족의 세 분파 중 하나였던 케신족의 분파에서 유래하였다. 판찰라 지역에서 케신족의 한 분파가 케사풋타를 설립하여 칼라마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5] 대마가다 문화권의 다른 인구와 마찬가지로 칼라마족도 처음에는 인도아리아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브라만화되지는 않았지만 나중에 코살라가 브라만화되면서 브라만화되었다.[6]
석가모니 당시 칼라마 공화국은 파세나디가 다스리던 코살라의 속국이었으며, 석가모니는 설법 도중 칼라마를 방문한 적이 있다. 석가모니의 스승 중 한 명인 알라라 칼라마는 석가모의 제자인 바란두와 마찬가지로 칼라마족에 속해 있었다.[7][1]
파세나디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비두다바는 나중에 칼라마를 코살라 왕국으로 합병했다. 칼라마족은 석가모니가 사후 유물에 대한 소유권을 요청하지 않았는데, 아마도 그때쯤 독립성을 잃었기 때문일 것이다.[1]
정치
칼라마족은 가나상가(귀족 과두제 공화국)로 조직된 크샤트리야 부족이었다.[1]
의회
다른 가나상가와 마찬가지로 칼라마 공화국의 통치 기관은 라자('족장'이라는 뜻)라는 칭호를 가진 크샤트리야 원로들의 의회였다.[1]
평의회
의회는 거의 열리지 않았고, 대신 공화국 행정부는 의회 구성원 중에서 선출된 평의원들로 구성된 의회의 하위 기관인 평의회의 손에 달려 있었다. 평의회는 의회보다 더 자주 열렸다.[1]
라자 (수반)
칼라마 의회는 종신직 수반인 라자를 선출했다. 라자는 의회와 평의회의 도움을 받아 공화국을 통치했다.[1]
종교
칼라마족은 다른 가나상가와 달리 불교와 같은 슈라마나 전통에 무관심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석가모니 유물의 소유권을 요구하지 않은 또 다른 이유일 수 있다. 칼라마족은 케신족과 관련이 있었기 때문에 오히려 브라만교에 더 관심을 가졌을 수 있다.[1]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