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커-뉴먼 계량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커-뉴먼 계량(Kerr–Newman metric)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의 하나다. 대전되고 회전하고 있는 물체의 중력장을 나타낸다.
정의
요약
관점
커-뉴먼 계량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이고,
다. 여기에서는 광속과 중력상수를 1로 하는 기하학 단위계를 채택하고 있다.
전하가 0인 경우 커-뉴먼 계량은 커 계량을 재현한다. 각운동량이 0인 경우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을 재현한다. 그리고 전하와 각운동량이 0인 경우 슈바르츠실트 계량을 재현한다. 커 계량과 마찬가지로 이 계량이 블랙홀로 이해될 경우는 일 때다. 다른 특징은 커 계량을 참고.
털없음 정리에 따라, 일반적인 블랙홀은 질량과 각운동량, 전하 세 개의 물리량만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커-뉴먼 블랙홀에 해당한다.
Remove ads
역사
미국의 에즈라 테드 뉴먼(Ezra Ted Newman)이 1965년에 발견하였다.[1][2] 1963년에 뉴질랜드의 수학자 로이 커가 회전하지만 대전되지 않는 물체의 중력장을 나타내는 커 계량을 발견하자,[3] 뉴먼은 2년 뒤 이를 대전된 경우로 일반화하였다.
각주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