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컨셔스 힙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컨셔스 힙합(Conscious Hip Hop)은 컨셔스 랩(Conscious Rap)이라고도 불리며 사회에 관한 주제를 다룬 힙합의 하위장르이다.

역사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

컨셔스 힙합의 기원은 초기 힙합 씬에서부터 시작된다. 아티스트들은 사회적, 정치적 주제를 다루기 시작했고, 특히 뉴욕의 퍼블릭 엔터프라이즈KRS-One 같은 아티스트들이 이 장르를 대표했다.

1990년대

A Tribe Called Quest, De La Soul, The Roots 등은 더 많은 실험적이고 사상적인 주제를 다루기 시작하면서 컨셔스 힙합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2000년대 이후

Kendrick Lamar, J. Cole, Common 등 현대의 아티스트들은 여전히 이 장르를 유지하며 더 복잡하고 깊은 사회적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특징

사회적 메시지

경제적 불평등, 인종차별, 정치적 부패, 환경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주제를 다룬다.

정치적 메시지

자주 민권 운동이나 사회적 정의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Tupac Shakur의 "Changes"나 Public Enemy의 "Fight the Power"처럼.

리릭 중심

음악이 중요한 요소지만, 특히 가사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개인적 이야기

하지만 사회적 메시지를 넘어 아티스트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더 큰 사회적 변화를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주요 아티스트

  • Tupac Shaku: 그의 많은 곡에서 사회적 문제, 특히 인종차별과 빈곤 문제를 다룬다.
  • Public Enemy: 그들의 음악은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사회적 불평등과 흑인 권리를 주제로 한 곡들이 많다.
  • Common: 그의 곡은 정신적, 영적 메시지와 사회적 정의를 중심으로 한다.
  • Kendrick Lamar: 특히 *To Pimp a Butterfly*와 *DAMN.*에서 사회적 문제와 개인적인 고뇌를 다룬다.
  • J. Cole: 그의 앨범은 자주 흑인 커뮤니티와 정치적 부패, 사회적 문제를 언급한다.

현대의 컨셔스 힙합

2010년대 이후

현대 힙합에서는 Kendrick LamarJ. Cole과 같은 아티스트들이 컨셔스 힙합의 흐름을 이끌고 있으며, 그들의 앨범은 대중적인 인기를 얻으면서도 여전히 깊은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또한, Chance the RapperRapsody와 같은 아티스트들도 그들의 음악을 통해 중요한 사회적 문제를 다룬다.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