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컬로처이 칼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사람의 이름은 성-이름 순서로 되어 있는 헝가리 이름으로 성은 '컬로처이'입니다.
컬로처이 칼만(헝가리어: Kalocsay Kálmán, 에스페란토: Kolomano Kaloĉajo 콜로마노 칼로차요, 1891–1976)은 헝가리의 시인이다. 주로 에스페란토로 작업하였고, 또 에스페란토 번역가로도 활동하였다. 여러 필명을 사용했는데, "C. E. R. Bumy", "Kopar", "Alex Kay", "K. Stelov", "Malice Pik", "Peter Peneter" 등이 있다. 가장 유명한 에스페란토 문학가 가운데 하나이다.
Remove ads
생애
1891년에 헝가리에서 태어났다. 의학을 공부하였고, 부다페스트의 병원에서 일했다. 청년 때에 에스페란토와 이도를 배웠다. 1921년에 최초의 시집 《세상과 마음》(에스페란토: Mondo kaj Koro)으로 등단하였고, 그 뒤 수많은 시집들을 발표하였다.
시 말고도, 총 2권의 《에스페란토 백과사전》(에스페란토: Enciklopedio de Esperanto)에 기여하였다.
1976년 부다페스트에서 사망하였다.
주요 저서
시집
- 《세상과 마음》(에스페란토: Mondo kaj Koro) (1921, 1981)
- 《당겨진 끈》(에스페란토: Streĉita Kordo) (1931, 1978)
- 《비밀의 소네트》(에스페란토: Sekretaj Sonetoj) (1932, 1989. 필명 Peter Peneter)
- 《시로 쓴 초상화》(에스페란토: Rimportretoj) (1934)
- 《사랑의 서(書)》(에스페란토: Libro de amo) (1969. 필명 Peter Peneter)
- 《컬로처이 선집》(에스페란토: La kremo de Kalocsay) (1971)
- 《고립》(에스페란토: Izolo) (1977)
- 《악마의 12야》(에스페란토: La dekdu noktoj de satano) (1990)
- 《시는 사지 못한다》(에스페란토: Versojn oni ne aĉetas), (1992)
- 《수확한 후》(에스페란토: Postrikolto) (2004)
- 《널리 심어진 꽃》(에스페란토: Dissemitaj floroj) (2005)
단편소설
언어학·에스페란토학
- 《언어·문체·형식》(에스페란토: Lingvo Stilo Formo, 에세이집. 1판 1931년, 2판 1963년, 3판 1970년)
- 《파르나소스 길잡이》(에스페란토: Parnasa Gvidlibro, 가스통 바랭기앵과 공저, 1판 1932년, 2판 1968년, 3판 1984년)
- 《은빛의 짝》(에스페란토: Arĝenta Duopo, 버기 줄러와 공저, 1937년)
- 《에스페란토 어근의 문법적 성질》(에스페란토: La gramatika karaktero de la Esperantaj radikoj, 1판 1938년, 2판 1980년)
- 《에스페란토 문법》(헝가리어: Eszperantó nyelvtan, 1948년)
- 《금빛의 짝》(에스페란토: Ora Duopo, 버기 줄러와 공저, 1966년)
- 《정규 에스페란토 문법》(헝가리어: Rendszeres eszperantó nyelvan, 1966, 1968, 2004)
- 《시간을 건너는 여행》(에스페란토: Vojaĝo inter la tempoj, 출판사 Stafeto, 1966년)
- 《DOMFABRIKO: 6000 frazeologiaj esprimoj hungaraj-Esperantaj》 (Ada Csiszár 공저, 1975년)
- 《어떻게 창작하고 번역하는가》(에스페란토: Kiel verki kaj traduki, 1979년)
- 《에스페란토 분석 문법》(Plena Analiza Gramatiko, 가스통 바랭기앵과 공저, 1980년)
- 《명연설 10편 선집》(에스페란토: Dek prelegoj, 1985년)
- 《질문 없는 대답》(에스페란토: Sendemandaj respondoj, 출판사 Sezonoj, 1992년)
- 《Diino Hertha》(1992년)
- 《8000 frazeologiaj esprimoj》(Ada Csiszár 공저, 2003년)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Csiszár, Ada (1994). 《In Memoriam dr. Kalocsay Kálmán》.
- Mayer, Herbert (1987). 《La eterna neologisma diskuto: Kalocsay kaj la sekvo》.
- Csiszár, Ada. 《Senvuale: Pri la Pseŭdonimoj de Kálmán Kalocsay》.
- Degenkamp, G.J. (1947). 《Esperanto 60-Jara. Skizo pri la Evoluo de la Lingvo Literatura》. 36-37쪽.
- Tonkin, Humphrey (1961년 11월). “Kelkaj pensoj pri Kalocsay”. 《La nica literatura revuo》 (에스페란토) 7 (2): 58-63. 2015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11일에 확인함.
- Rossetti, Reto. “Al K. Kalocsay”. 《Nica Literatura Revuo》 (에스페란토) 1 (4): 121. 2015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6일에 확인함.
Remove ads
외부 링크
- (헝가리어/에스페란토) 컬로처이 학회 보관됨 2007-09-28 - 웨이백 머신
- “Kelkaj Poemoj de Kálmán KALOCSAY” (에스페란토). 2015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6일에 확인함.
- 컬로처이의 시 영어 번역
- Renkonto al la luno
- Sendemandaj respondoj de Kálmán Kalocsay
- In a bitter hour angle kaj lojxbane
- Kálmán Kalocsay, le traducteur littéraire, Ada Csiszár: In memoriam Dr. Kalocsay Kálmán (1891-1976). pp. 34–35. Tradukita francen de István Ertl.
- K. Kalocsay kaj G. Waringhien Korespondaĵoj Marc van Oostendorp (eo en)
- La poemoj de Eterna bukedo, Ezopa sagxo, Izolo, Libero kaj amo, Libro de amo, Rimportretoj, Romaj elegioj, Sekretaj sonetoj, Streĉita kordo, Tutmonda sonoro
- Jes ja, poeziaĵo el poemciklo “Tra la Ŝtormo”, en Ora Duopo: Jubilea Libro pri Julio Baghy kaj Kolomano Kalocsay, red. Lájós Kökény (Budapest: Hungara Esperanto-Asocio, 1966)
- Kalocxajaj literaturaj verkoj enretigitaj
- Rimportretoj, GALERIO DE ESPERANTAJ STELOJ, Literatura Mondo, Budapest, 1934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