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케팔로니아 공성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케팔로니아 공성전map
Remove ads

케팔로니아 공성전오스만-베네치아 전쟁 당시 1500년 11월 8일부터 12월 24일까지 그리스 케팔로니아섬에서 벌어진 전투로, 오스만 제국령 요새였던 '성 (聖)게오르고스 성'을 두고 벌어진 포위전이다. 당시 오스만군에 베네치아군이 연이어 패배한 뒤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 대위가 지휘하는 스페인-베네치아 연합군이 요새 공략에 나서 함락에 성공하였다.

간략 정보 케팔로니아 공성전, 날짜 ...
Remove ads

배경

그리스 서해안의 이오니아 제도에 속한 케팔로니아섬은 이탈리아 토코 가문팔라티노 백작의 소유였으나 1479년 오스만 제국이 점령하였다.[1] 1482년~1483년의 베네치아군이 일시적으로 점령한 것을 제외하면 1500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영토로 남아 있었다.[2]

1499년 오스만 제국이 그리스 본토의 베네치아 항구인 레판토를 공격하면서 제2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이 발발하였다. 1499년 8월 24일 레판토가 함락되자 오스만 제국은 1500년 8월 9일 모레아 지방으로 시선을 돌려 모돈 시를 공격한 데 이어, 이웃 요새인 코론나바리노도 함락되면서 전황은 베네치아에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었다.[3]

포위전

1500년 8월 17일, 스페인 총사령관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는 베네치아를 돕기 위해 병력을 이끌고 전투에 나섰다. 11월 8일 베네치아 신임 해군사령관 베네데토 페사로는 스페인 함대의 지원과 함께 케팔로니아섬에 상륙, 12월 24일 케팔로니아섬의 수도인 성게오르고스성을 점령하는 데 성공하였다.[4] 이후 곤살로 사령관과 함대는 시칠리아로 돌아왔으나 베네데토 페사로는 공세를 계속하여 1502년 8월 산타마우라 (레프카다)를 탈환하는 데 성공한다.

여파

1502년 12월 콘스탄티노플에서 평화조약이 체결될 당시 케팔로니아는 베네치아의 영토가 되었으나 레프카다는 1503년 오스만 제국의 영토로 반환되었다.[5]

각주

출처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