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코르티솔
호르몬의 종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코르티솔(영어: Cortisol, 하이드로코르티손) 또는 코티졸은 당질 코르티코이드계의 호르몬으로, 부신피질에서 생성된다. 다른 조직에서의 생성량은 적다.[1] 부신피질은 스트레스나 낮은 농도의 혈중 당질 코르티코이드에 반응해 코르티솔을 분비하는데, 혈당을 높이고, 면역 시스템을 저하시키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대사를 돕는 작용을 한다.[2] 코르티솔은 뼈의 생성을 막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3] 임신 30주와 32주 사이에는 코르티솔 분비가 증가되어 태아의 폐가 완성되는 것을 돕는다. 다양한 형태의 합성 코르티솔은 여러 가지 질환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 항염증제로서 각종 염증성ㆍ알레르기 질환 등에도 쓰인다.
Remove ads
Remove ads
생성과 분비
코르티솔은 부신피질의 가운데 층에서 생성된다. 코르티코이드의 분비는 뇌의 시상하부에서 조절하는데, 시상하부(Hypothalamic)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CRH)을 뇌하수체(Pituitary)에 보내면, 뇌하수체의 전엽(뇌하수체 앞부분)은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을 분비한다. 이 호르몬은 혈액을 타고 부신피질(Adrenal)에 전달되면 부신피질에서는 코르티솔을 비롯한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생성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HPA 축(또는 LHPA 축)으로 볼때 코르티졸의 증가는 다시 시상하부의 CRH를 분비를 억제하는 부적 피드백을 갖는다.[4]
체내에서의 역할
코르티솔은 1. 당생산을 통한 혈당 증가, 2. 면역 시스템 저하, 3.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대사 촉진을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부적절한시차 적응, 우울증 등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스트레스 상황으로인한 상대적으로 코르티솔의 높은 수준의 혈중농도는 해마의 기능 활성화를 위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연구결과로 보고되고있다.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