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플랜드-에르되시 상수(Copeland-Erdős Constant)는 아서 허버트 코플랜드와 폴 에르되시(Paul Erdös)가 함께 작업한 상수이다.
소수를 이용하여 정의한 유사 정규수(normal number)이다. 코플랜드와 에르되시는 이 상수가 10 진법에 기초한 경우에서 정규수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1][2][3]



소수와 관련하여 비교적인 측면에서 챔퍼나운 수(Champernowne constant)의 연분수에는 산발적인 매우 큰 주기(large term 또는 long term)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연분수를 계산하기가 어려워지지만 코플랜드-에르되시 상수(Copeland-Erdős Constant)의 연분수는 잘 작동하면서 "롱텀(long term)현상"을 나타내지도 않는다.[4][5][6]




(A033308OEIS)[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