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쾨펜의 기후 구분
널리 쓰이고 있는 기후 구분 체계 중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쾨펜의 기후 구분(영어: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이란, 독일의 기후학자 블라디미르 쾨펜(Wladimir Peter Köppen)이 식생분포에 주목하여 1918년에 발표한 기후 구분이다.[1] 1936년 쾨펜의 수정안이 발표되었으며,[2] 이후 독일의 기상학자 루돌프 가이거가 1954년과 1961년에 쾨펜의 기후 구분을 수정하였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쓰이는 쾨펜의 기후 구분은 가이거가 수정한 것이다. 쾨펜-가이거 기후 구분이라고도 한다.[3]
구분 기준
경험적 기후 구분
기후의 구분은 기단과 같은 기후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발생적 기후 구분과 식생의 분포와 같은 기후의 결과를 관찰하는 경험적 기후 구분으로 나뉜다. 쾨펜의 기후 구분은 식생의 분포를 기준으로 하는 경험적 기후 구분으로[2], 기온과 강수량의 2가지 변수에 의한 단순한 계산으로 기후를 구분하는 것이 특징이다.[3]
쾨펜의 기후 구분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서 구분된다.[1]
기후 구분
쾨펜은 위와 같은 구분 기준을 세우고 먼저 위도에 따른 기후를 구분하였다.[4]
그리고 1966년 미국 지리학자 트레와다(Glenn Thomas Trewartha)는 여기서 고산기후(Highland Climate)를 따로 분류하여 알파벳 H를 부여했다.
- H: 고산 기후
Remove ads
세부적인 기후 구분
요약
관점

Af
Am
Aw/As |
BWh
BWk
BSh
BSk |
Csa
Csb
Csc |
Cwa
Cwb
Cwc |
Cfa
Cfb
Cfc |
Dsa
Dsb
Dsc
Dsd |
Dwa
Dwb
Dwc
Dwd |
Dfa
Dfb
Dfc
Dfd |
ET
EF |
- A(열대) - 최한월 평균 기온이 18°C 이상
- B(건조) - 연평균 강수량 500mm 이하
- C(온대) - 최한월 평균 기온이 -3°C (또는 0°C) 이상이면서 18°C 이하, 최난월 평균 기온이 10°C 이상
- D(냉대) - 최한월 평균 기온이 -3°C (또는 0°C) 미만이면서 최난월 평균 기온이 10°C 이상
- E(한대) - 최난월 평균 기온이 10°C 미만
보다 세부적인 기준[6]에 따른 기후 구분은 다음과 같다.[4]
Remove ads
평가
쾨펜의 기후 구분은 분류 기준이 간결, 명확하고 식생, 풍토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어, 현재에도 기후, 산업, 문화, 농업을 논하는 데 있어 빠뜨릴 수 없다. 그러나 식생에만 주목하고 있어 인간 생활등의 감각에 친숙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며,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기후에 대해서는 정확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