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쿨레쇼프 효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쿨레쇼프 효과
Remove ads

쿨레쇼프 효과(Kuleshov effect)는 1910년대와 1920년대에 러시아 영화 제작자 레프 쿨레쇼프가 시연한 영화 편집(몽타주) 효과이다. 이것은 시청자가 고립된 단일 샷보다는 두 개의 연속적인 샷의 상호작용에서 더 많은 의미를 이끌어내는 정신 현상이다.

남자의 얼굴이 세 가지 다른 장면과 교차되는 현대 쿨레쇼프 시퀀스의 예시 영상

쿨레쇼프의 실험

쿨레쇼프는 차르 시대의 인기 배우 이반 모주힌의 무표정한 얼굴 샷을 다른 여러 샷(수프 한 그릇, 관 속의 소녀, 디반 위의 여자)과 교차 편집한 단편 영화를 만들었다. 이 영화는 관객들에게 상영되었는데, 관객들은 모주힌의 얼굴 표정이 그가 "보고 있는" 대상(수프 그릇, 관 속의 소녀, 디반 위의 여자)에 따라 매번 다르게 나타난다고 믿었으며, 각각 굶주림, 슬픔, 성욕의 표정을 보인다고 생각했다. 모주힌의 영상은 실제로는 매번 같은 샷이었다. 프세볼로트 푸돕킨(나중에 실험의 공동 창작자라고 주장)은 1929년에 관객들이 "연기에 열광했다... 잊혀진 수프에 대한 그의 깊은 생각, 죽은 아이를 바라보는 깊은 슬픔에 감동했으며, 여자를 관찰하는 성욕을 주목했다. 그러나 우리는 세 경우 모두 얼굴은 정확히 똑같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라고 묘사했다.[1]

쿨레쇼프는 이 실험을 통해 영화 편집의 유용성과 효과를 입증했다. 이는 관객들이 이미지 시퀀스에 자신만의 감정적 반응을 부여하고, 그 반응을 배우에게 귀속시켜 그의 무표정한 얼굴에 자신들의 감정을 투영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쿨레쇼프는 이것이 몽타주와 함께 독립적인 예술 형식으로서 영화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2]

실험 자체는 차르 시대 영화 산업의 기존 필름 조각들을 사용하여 새로운 자료 없이 구성되었다. 모주힌은 차르 시대 영화의 주연 로맨틱 "스타"였으며 관객들에게 친숙한 인물이었다.

Remove ads

영향

쿨레쇼프는 몽타주를 영화의 기본적인 도구로 고려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쿨레쇼프의 관점에서 영화는 파편들과 그 파편들의 조합, 즉 현실적으로는 별개의 요소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영화에서 중요한 것은 이미지의 내용이 아니라 그것들의 조합이다. 그러한 예술 작품의 원료는 독창적일 필요가 없으며, 예술가에 의해 분해되고 재조립되어 새로운 병치를 이룰 수 있는 미리 만들어진 요소들이다.

1910년대 후반과 1920년대 초반에 쿨레쇼프가 수행한 몽타주 실험은 소비에트 몽타주 영화의 이론적 기반을 형성했으며,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 프세볼로트 푸돕킨, 지가 베르토프 등과 같은 감독들의 1920년대 후반 유명 영화들로 정점을 찍었다. 이 영화들에는 전함 포템킨, 10월, 어머니,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종말, 그리고 카메라를 든 사나이가 포함된다.

이 효과는 심리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으며 현대 영화 제작자들 사이에서도 잘 알려져 있다. 앨프리드 히치콕프랑수아 트뤼포와의 대화에서 이 효과를 언급하며 배우 제임스 스튜어트를 예시로 들었다.[3][4] CBC 텔레스코프 프로그램의 일부였던 유명한 "행복의 정의" 인터뷰에서 히치콕은 플레쳐 마클에게 여러 가지 편집 유형을 자세히 설명했다.[5] 그가 "순수 편집"이라고 부르는 최종 형태는 쿨레쇼프 효과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설명된다. 예시의 첫 번째 버전에서 히치콕은 눈을 가늘게 뜨고 있으며, 관객은 아기를 안고 있는 여자의 영상을 본다. 그런 다음 화면은 히치콕의 얼굴로 돌아와, 이제 그는 웃고 있다. 결과적으로 그는 친절한 노인이다. 두 번째 예시에서는 여자와 아기가 비키니를 입은 여자로 대체된다. 히치콕은 설명한다: "이제 그는 누구인가? 그는 더러운 노인이다."

Remove ads

연구

쿨레쇼프 효과는 최근 몇 년에 들어서야 심리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프린스와 헨슬리(1992)는 원래의 연구 설계를 재현했지만, 주장된 효과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137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했지만, 단일 시도의 피험자 간 실험이었고, 이는 데이터의 노이즈에 취약하다.[6] 딘 몹스 외 연구진은 2006년 피험자 내 fMRI 연구를 수행하여 부정적, 긍정적, 중립적 감정가에 대한 효과를 발견했다. 중립적인 얼굴이 슬픈 장면 뒤에 보였을 때 슬퍼 보였고, 행복한 장면 뒤에 보였을 때 행복해 보였다.[7] 2016년, 대니얼 배럿 외 연구진은 36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5가지 감정 조건(행복, 슬픔, 배고픔, 두려움, 욕망)과 중립 통제 조건에 걸쳐 24개의 영화 시퀀스를 사용하여 실험했다. 다시, 그들은 중립적인 얼굴이 자극 자료에 따라 평가되었음을 보여주었으며, 2006년 몹스 외 연구진의 결과를 확인했다.[8]

따라서, 쿨레쇼프 효과를 실험적으로 테스트하는 데 초기 문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은 이제 얼굴이 보여지는 맥락이 얼굴이 인식되는 방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데 동의한다.

쿨레쇼프 효과가 청각적으로도 유도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안드레아스 M. 바라노프스키와 하이코 헥트는 다양한 얼굴 클립을 행복한 음악, 슬픈 음악 또는 전혀 음악이 없는 중립적인 장면과 교차 편집했다. 그들은 음악이 참가자들의 얼굴 표정에 대한 감정적 판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했다.[9]

같이 보기

각주

더 읽어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