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탁발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탁발 식(拓跋寔, ? ~ 371년 음력 5월)은 오호 십육국 시대 대나라 탁발십익건의 둘째 아들이자 태자로, 북위개국황제도무제 탁발규의 아버지다.

간략 정보 탁발식拓跋寔, 출생일 ...
Remove ads

생애

가세(家世)

탁발십익건과 그의 본처모용황의 딸 모용씨의 아들이다.[1][2] 탁발십익건의 둘째 아들이었으나,[3] 적장자였기 때문에 태자에 봉해졌다.[주 1] 동복형제로는 동생 탁발한[1][2]·탁발알파[4][3][5][6]·탁발굴돌·탁발지간(拓跋地干)·탁발력진(拓跋力眞)·탁발수구(拓跋壽鳩)·탁발흘근(拓跋紇根)이 있었다.[5][6][7] 대나라의 동부대인(東部大人)이자 하란부(賀蘭部)의 수장인 하란야간(賀蘭野干)의 딸 하란씨결혼하였다.[8][9][10]

행적 및 사후

건국 34년(371년) 3월, 대나라의 장수 발발근(拔拔斤)[주 2]모반을 일으켜 탁발십익건을 살해하려고 하였다.[14][15][8][9][10] 그리하여 그는 을 뽑아들고 탁발십익건의 어좌를 향해 달려들었다.[14][15] 탁발식은 몸을 던져 이를 막아내며 맞섰고,[14][15][8][9][10] 격투 끝에 발발근을 잡아 죽였다.[8][9][10] 하지만 탁발식은 이 과정에서 갈비뼈에 칼을 맞아 부상을 입었고, 결국 그것이 원인이 되어 그해 5월에 죽고 말았다.[14][15][8][9][10] 그로부터 2개월 후인 같은해 7월, 하란부인은 탁발식의 유복자인 탁발규출산하였다.[8][9][10]

천흥 원년(398년) 12월 2일(399년 1월 24일),[16] 탁발규가 대나라의 후신인 북위황제의 자리에 올랐다(도무제). 도무제는 선대의 조상들을 황제추존하면서 아버지 탁발식을 황제(獻明皇帝)로 추존하였다.[17][15][18][19][20]

천흥 2년(399년) 10월, 북위의 태묘완성되었다. 도무제는 헌명제의 위패를 선대 추존 황제들의 위패들과 함께 태묘로 옮겼다.[17][15]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