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토키몬스타
한국계 미국인 음악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토키몬스타(TOKiMONSTA)는 로스앤젤리스 출신의 디스크 자키 제니퍼 리(Jennifer Lee)의 예명이다.[3] 얼터너티브 힙합 음악가 서스티 피쉬[4] 래퍼 쿨 케이스[5] 가수 MNDR,[6] 프로듀서 Anderson Paak과 협업하였고, 안드레야 트리애너[7], 대델루스,[8] Jodeci,[9], 저스틴 팀버레이크와 리믹스 트렉 작업을 하기도 하였다.[10]

성장
제니퍼 리는 캘리포니아주 토런스에서 자랐으며.[11] 한국계 미국인이다.[3]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경영학과를 졸업하였고[12] 비디오 게임 프로듀서로 일하였다.[13][14]
제니퍼 리는 전통적인 피아노 교습을 받았고 대학교 재학중에는 로스앤젤리스 레이머트 파크에 있는 프로젝트 블로우드, 로우 엔드 데오리와 같은 클럽에서 비트를 담당하였다.[14]
경력
제니퍼 리는 2010년 런던 레드불 뮤직 아카데미에 초대되었다.[15] 이후 로스앤젤리스의 음악가 플라잉 로터스가 창립한 레이블 브레인피더와 처음으로 계약한 여성 음악가가 되어 2010년 첫 음반 《Midnight Menu》를 발매하였다.[16] 2010년 12월 주간지 《LA 위클리》는 급상승 중인 여성 DJ 1순위로 제니퍼 리를 올렸다.[17] 2011년 브레인피더를 통해 EP 《Creature Dreams》를 발표하였다.[18] 2012년 수지 아날로그와 협업으로 11 곡을 담은 《Analogue Monsta》를 발표하였다.[19]
2013년 울트라 뮤직을 통해 두번째 앨범인 《Half Shadows》를 발표하였고[20], 2014년 스스로 세운 레이블 영아트 레코드를 통해 《Desiderium》을 발표하였다.[21]
2014년 레드불 뮤직 아카데미에 이전 시즌 졸업자로서 강사로 초청되었다.[22] 2015년 영아트 레코드의 프로듀서로서 가빈 투렉의 《You're Invited》를 제작하였다.[23] 같은 해 아시안 아메리칸 여성 4명의 일상을 담은 알파 걸스(Alpha Girls)에 출연해 이름을 알렸다.[24]
이름
토키몬스타는 한국어 토끼와 몬스터를 합성하여 지은 이름이다. 한국 동요 〈산토끼〉에서 가져왔다고 한다.[25][26]
Remove ads
모야모야 병
2015년 말 제니퍼 리는 모야모야병이 발병하였다. 2번에 걸친 뇌수술을 받고 몇 달간 음악을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상태에 빠졌다가 이를 경험으로 새 앨범 《Lune Rouge》를 발표하였다.[24] 새 앨범은 음악인 토키몬스타와 자연인 제니퍼 리의 가치관을 함께 섞어 삶에 대한 의지를 담았다.[27] 넷플릭스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익스플레인:세계를 해설하다》의 첫회 〈소리와 음악 사이〉에 출연하여 자신의 경험을 통해 음악의 특성을 이야기하였다.[28]
음악
앨범
- Midnight Menu (2010)
- Half Shadows (2013)
- Desiderium (2014)
- Fovere (2016)
- Lune Rouge (2017)
- Oasis Nocturno (2020)
익스텐디드 플레이
- Bedtime Lullabies (2008)
- Cosmic Intoxication (2010)
- Creature Dreams (2011)
- Los Angeles 8/10 (2011) (마이크 가오와 협업)
- Boom (2012) (수지 아날로그와 아날로그 몬스타로서 협업)
- You're Invited (2015) (가빈 투렉과 협업)
싱글
- "USD / Free Dem" (2010)
- "Mileena's Theme" (2011)
- "Darkest (Dim)" (2012)
- "Go With It" (2013)
- "The Force" (2013)
- "The World Is Ours" (2014)
- "Realla" (2014)
- "Steal My Attention" (2014)
- "Drive" (2014)
- "Pinching" (2014)
- "Saw Sydney (Pharrell 'That Girl' Flip)" (2015)
- "Hemisphere" (2015)
- "Surrender" (2015)
- "Put It Down" (2015)
- "Don't Call Me" (2017)
- "We Love" (2017)
- "I Wish I Could" (2018)
프로덕션
- 서스티 피쉬 - 앨범 《Watergate》중 "Grind It Out"과 "Antique Blowed Show"(2011)
리믹스
- Shlohmo - "Hot Boxing the Cockpit" (2010)
- Suzi Analogue - "NXT MSG" (2010)
- Eight and a Half - "Scissors" (2011)
- Take - "Horizontal Figuration" (2011)
- Andreya Triana - "Far Closer" (2011)
- Swede:Art - "I'm a R.O.B.O.T." (2011)
- Daedelus - "Tailor-Made" (2011)
- Kidkanevil - "Megajoy" (2011)
- Hundred Waters - "Thistle" (2012)
- Jodeci - "Freek'n You" (2012)
- Stan Getz & [[João Gilberto - "Corcovado" (2013)
- Felix Cartal - "New Scene" (2013)
- Justin Timberlake - "Suit & Tie" (2013)
- Tinashe - "2 On" (2014)
- Elizabeth Rose - "Sensibility" (2014)
- Kilo Kish]] - "IOU" (2014)
- Jessie Ware]] - "Keep On Lying" (2014)
- Mariah Carey - "Heartbreaker" (2014)
- Lupe Fiasco - "Superstar" (2014)
- Yacht - "Where Does This Disco?" (2015)
- The Drums - "There's Nothing Left" (2015)
- Gavin Turek - "Frontline" (2015)
- Lil Uzi Vert - "Team Rocket" (2016)
- Beck - "Wow" (2016)
- Maroon 5]] - "Girls Like You" (2018)
- George FitzGerald, Lil Silva - "Rollback" (2018)[29]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