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통합 식량 안보 단계 분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통합 식량 안보 단계 분류(영어: Integrated Food Security Phase Classification, IPC, IPC 척도라고도 함)는 식량 안전 보장 분석 및 의사 결정 개선을 위한 도구이다. 이는 식량 안보, 영양 및 생계 정보를 위기의 성격과 심각성, 그리고 전략적 대응에 대한 의미에 대한 진술로 통합하는 표준화된 척도이다.[1]
IPC는 원래 2004년 유엔 유엔식량농업기구의 식량 안보 분석 부서(FSAU)가 소말리아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2] 국제 원조 구호 기구, 유럽 위원회 공동 연구 센터(EC JRC),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미국 국제 개발처/FEWS NET, 옥스팜 GB, 세이브 더 칠드런 UK/US, 유엔 세계 식량 계획(WFP)을 포함한 여러 국가 정부 및 국제 기구는 이를 다른 식량 안보 맥락에 적용하기 위해 협력해 왔다.[1][3][4]
Remove ads
기근 검토 위원회
IPC 기근 검토 위원회의 작업은 EU, 영국, 캐나다 및 독일의 개발원조 프로그램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다.[5] 기근 검토 위원회는 국가 정부나 지역 정치적 이해관계와 관련이 없는 국제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그 임무는 순전히 기술적이고 과학적인 기준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6]
IPC 척도
Remove ads
주목할 만한 적용 사례
요약
관점
통합 식량 안보 단계 분류(IPC)는 여러 국가에서 식량 불안정을 평가하고 대응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각 사례는 고유한 도전과 대응을 보여준다.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에서 2021년 IPC 분석은 티그레이, 암하라, 아파르 지역의 55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분쟁, 이주 및 시장 혼란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심각한 식량 불안정에 직면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2021년 5월 현재, 약 310만 명이 위기(IPC 3단계)에, 210만 명이 비상사태(IPC 4단계)에, 353,000명이 재앙(IPC 5단계)을 겪고 있었다.[7]
수단
수단에서 2024년 4월~5월 IPC 분석은 2,560만 명이 위기(IPC 3단계) 또는 그 이상의 심각한 식량 불안정에 직면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총 850만 명이 비상사태(IPC 4단계)에, 755,000명이 재앙(IPC 5단계)에 직면하고 있다. 주요 요인으로는 지속적인 분쟁과 제한된 인도주의적 접근성이 있으며, 특히 대다르푸르 및 코르도판 지역에서 심각하다. 이 분석은 조건이 악화될 경우, 특히 분쟁 피해 지역의 이재민과 난민들에게 기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다.[8]
콩고
콩고 민주 공화국(DRC)에 대한 2024년 7월~12월 IPC 분석은 2,560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식량 불안정을 나타내며, 위기(IPC 3단계) 또는 그 이상으로 분류된다. 이 중 310만 명은 비상사태(IPC 4단계)에 직면하고 있으며, 특히 북키부, 이투리, 남키부와 같은 분쟁 영향을 받는 주에서 심각하다.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의 예상 조건은 지속적인 무력 충돌, 경제적 불안정, 높은 식량 가격으로 인해 유사한 도전을 시사한다. 이재민은 특히 취약한 상태를 유지한다.[9]
가자 지구
IPC 척도는 2023년 10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시작된 이래로 가자 인도주의적 위기 (2023년~현재)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OCHA)이 2025년 7월 30일에 발표한 영향 스냅샷에 따르면, 인구의 100%가 IPC 3단계 이상의 심각한 식량 불안정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중 100만 명은 4단계에, 470,000명은 5단계에 직면한다.[10] 이는 2024년 9월~10월 IPC 보고서 이후 크게 악화된 것으로, 당시 184만 명이 위기(IPC 3단계) 또는 그 이상의 조건에 직면했지만, 가자 지구 주민의 6%만이 IPC 5단계 식량 불안정에 직면했으며, 이는 기근 시작 이래로 보고된 최저 수치였다.[11] 이스라엘은 2025년 3월과 4월 동안 가자 지구를 전면 봉쇄했으며, 국제 사회의 압력이 커지면서 최소한의 식량 유입을 허용해야 했지만, 대규모 기아는 계속 악화되고 있다.[12] 기근은 2025년 8월 15일 IPC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었고, 인구의 3분의 1이 IPC 5단계 기근에, 58%가 IPC 4단계 비상사태에, 20%가 IPC 3단계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3] 이는 IPC가 아프리카 이외 지역에서 기근을 기록한 첫 사례이다.[14]
소말리아
2024년 7월~9월 현재, 소말리아에서는 약 440만 명이 높은 수준의 심각한 식량 불안정(IPC 3단계 이상)을 겪고 있으며, 약 160만 명의 어린이가 급성 영양실조로 고통받을 가능성이 있다. 최근 강우로 인해 농업 조건이 개선되었지만, 지역적 홍수와 지속적인 분쟁은 여전히 식량 접근성과 농업 생산을 저해한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약간의 개선이 있다. IPC의 2024년 10월~12월 예측은 특히 위기 및 비상사태 단계의 취약 계층에 대한 지속적인 인도주의적 지원 필요성을 시사한다.[15]
예멘
2024년 7월부터 2025년 2월까지를 다루는 예멘에 대한 최신 IPC 분석은 정부 통제 지역 인구의 거의 절반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식량 불안정을 강조한다. 2024년 7월부터 9월까지 약 470만 명이 위기(IPC 3단계) 또는 비상사태(IPC 4단계) 수준의 식량 불안정에 직면했다. 경제 쇠퇴, 지속적인 분쟁, 불규칙한 인도주의적 지원은 식량 불안정의 주요 원인으로 남아 있으며, 2024년 8월 최근 홍수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 미미한 개선이 예상되지만, 추가적인 악화를 막기 위해 인도주의적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16]
Remove ads
주요 과제 및 한계
IPC 척도의 과제에는 데이터 품질 문제, 특히 분쟁 지역 또는 데이터 수집 접근성이 제한된 지역에서의 문제가 포함된다. 이는 종종 사용 가능하지만 때로는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에 의존하게 된다.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문가의 판단이 필요하므로 주관적인 해석에 대한 과제도 있다. 또한, IPC가 증거 수렴에 의존한다는 것은 모순되는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어 합의 형성 및 분석을 복잡하게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17]
같이 보기
- 기근 척도
- 세계 급성 영양실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