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퇴수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퇴수정(退修亭)은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 있는, 조선 후기에 벼슬을 지낸 박치기가 1870년에 세운 정자이다. 2000년 11월 17일 전라북도의 문화재자료 제165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조선 후기에 벼슬을 지낸 박치기가 1870년에 세운 정자이다.
박치기는 벼슬에서 물러나 심신을 단련하기 위해 이 정자를 지었다고 한다. 그래서 정자 이름을 ‘퇴수정’이라고 하였다.
정자 앞으로는 시냇물이 흐르고 뒤에는 암석이 높게 솟아 있다. 받침부에 사각형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원형 기둥을 세워 이층 건물을 지었다. 건물 안에는 방 한 칸을 들였다. 정자 왼쪽에 있는 관선재(觀仙齋)라는 사당은 후손들이 세운 것이다.
현지 안내문
이 건물은 조선 후기에 벼슬을 지낸 박치기가 1870년에 세운 정자이다. 그는 벼슬에서 물러나 심신을 단련하기 위해 이 정자를 지었다고 한다. 그래서 정자 이름을 퇴수정이라고 하였다. 정자 앞으로는 시냇물이 흐르고 뒤에는 암석이 높게 솟아 있다. 받침부에 사각형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원형 기둥을 세워 이층 건물을 지었다. 건물 안에는 방 한 칸을 들였다. 정자 왼쪽에 있는 관선재라는 사당은 후손들이 세운 것이다. 여름이면 시냇물과 암석이 어우러진 풍경에, 더위를 씻어주는 시원한 바람이 불어와 시름을 덜게 한다.[1]
각주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