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퇴행성 질환
질병의 부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퇴행성 질환(退行性疾患, 영어: degenerative disease)은 퇴행성 세포 변화에 기반한 지속적인 과정의 결과로, 조직이나 기관에 영향을 미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악화된다.[1]
신경퇴행성 질환에서는 중추신경계 세포가 신경퇴행을 통해 작동을 멈추거나 죽는다. 신경퇴행성 질환의 대표적인 예는 알츠하이머병이다.[2] 퇴행성 질환의 다른 두 가지 일반적인 부류는 순환계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예: 관상동맥 질환)과 종양성 질환(예: 암)이다.[1]
많은 퇴행성 질환이 존재하며 일부는 노화와 관련이 있다. 정상적인 신체 사용이나 생활 습관(예: 운동, 식습관)이 퇴행성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지만 이는 질병에 따라 다르다.[1] 때때로 이러한 질병의 주된 또는 부분적인 원인은 유전적 요인이다.[3] 따라서 일부는 헌팅턴병과 같이 분명히 유전적이다.[4] 때로는 원인이 바이러스, 독극물 또는 기타 화학 물질인 경우도 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다.[3]
Remove ads
예
- 알츠하이머병 (AD)[5]
- 근위축성 측삭경화증[5] (ALS, 루게릭병)
- 암[1]
-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 (CMT)[6]
- 만성 외상성 뇌병증[7]
- 낭포성 섬유증[8]
- 일부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 결핍증 (종종 퇴행성 리 증후군의 원인)[9]
- 엘리스-단로스 증후군[10]
- 진행성 골화성 섬유이형성증
- 프리드라이히 운동실조증[11]
- 전두측두엽치매 (FTD)[12]
- 일부 심혈관계 질환 (예: 관상동맥 질환, 대동맥 협착증, 선천적 결함 등과 같은 죽상경화성 질환)[13]
- 헌팅턴병[4]
- 영아 신경축삭 이영양증[14]
- 원추각막 (KC)[15]
- 구형각막[16]
- 백질이영양증[17]
- 황반변성 (AMD)[18]
- 마르판 증후군 (MFS)[19]
- 일부 미토콘드리아 근육병증[20]
- 미토콘드리아 DNA 고갈 증후군[21]
- 뮐러-바이스 증후군[22]
- 다발성 경화증 (MS)[23]
- 다계통 위축증[24]
- 근이영양증 (MD)[25]
- 신경원성 세로이드 리포푸신증[26]
- 니만픽병s[27]
- 뼈관절염[28]
- 골다공증[28]
- 파킨슨병[5]
- 폐고혈압[29]
- 모든 프라이온 질환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치사성 불면증 등)[5]
- 진행성핵상성 마비[30]
- 망막색소변성증 (RP)[31]
- 류마티스 관절염[32]
- 샌드호프병[33]
- 척수성 근위축증 (SMA, 운동뉴런 질환)[34]
- 아급성 경화 범뇌염[35]
- 약물 사용 장애[36]
- 테이-삭스병[33]
- 혈관성 치매 (그 자체로는 신경퇴행성 치매가 아닐 수 있지만 종종 다른 형태의 퇴행성 치매와 함께 나타난다.)[37]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