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는 2008년 10월 9일 설립된 대한민국의 시민단체이다. 영문명은 "The Center for Freedom of Information and Transparent Society"이다. 기록정보의 대중화를 통해 국민의 알권리를 실현하고, 정보공개를 통한 행정감시와 권력감시 등의 활동으로 사회전반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여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김유승 교수(중앙대 문헌정보학과)와 권혜진 박사(데이터저널리즘코리아 대표)가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이승휘(명지대 기록관리전문대학원 교수), 김영희(MBC 컨텐츠 총괄 부사장), 서경기(영광교회 목사)가 고문을 맡고 있다.

주된 활동은 국가나 정부, 지방자치단체, 그 밖에 공공기관에 대한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공공정보를 분석하고 가공해 대중에 공개하거나 언론의 보도를 지원하는 정보공개를 통한 행정감시 활동을 주요 활동으로 삼고 있다. 또 공공기관이 상시적으로 공개할 의무가 있는 정보들이 원만하게 공개되어 공공기관들이 국민의 알 권리를 적절히 보장하고 있는지 감시하는 활동들도 진행하며 정부 및 공공기관들의 정보공개정책에 민간 참여자로 직접적으로 관여하기도 한다.
Remove ads
역사
2008년 10월 9일 하승수를 소장으로, 당시 전진한이 사무국장을, 현 소장인 정진임이 활동가로 3인 사무국 체제로 설립되었다.
2009년 8월에 강언주가 상근 활동가로 합류했다.
2011년에 2월에 강성국이 상근 활동가로 합류했다.
2012년 하승수는 녹색당 창당 활동을 위해 퇴직하고 현재 비상근 임원인 운영위원으로 참여했다. 전진한이 2대 소장을 맡았다.
2013년 조민지가 상근 활동가로 사무국에 합류했다.
2015년 임원진을 구성했던 이사단이 해소되고 이는 운영위원회로 대체되었다. 2대 소장을 역임했던 전진한이 3년 간의 소장 임기를 끝으로 퇴임[1]했다. 3대 소장으로는 김유승 중앙대 문헌정보학과 교수가 새로 취임[2]했다.
2016년 강언주 활동가가 퇴직하고 김조은 활동가가 합류했다.
2016년 벨라 활동가가 합류했다.
2018년 벨라 활동가가 퇴직하고 김예찬 활동가가 합류했다.
2019년 김유승 소장과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었던 권혜진 박사가 공동대표로 취임하고 정진임 활동가가 신임 소장으로 취임하며 공공데이터 영역으로도 새롭게 활동영역을 넓혔다.
2024년 이리예 활동가가 합류했다.
Remove ads
수상내역
2010년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디지털유산어워드
2019년
- 민주언론시민연합 이달의 좋은 온라인 보도
- 국무총리 표창
2020년
- 제32회 안종필 자유언론상 특별상('국회 세금 도둑' 제작팀)
2021년
2022년
- 제5회 한국데이터저널리즘어워드 올해의 오픈데이터상(전국 기초의원 의정감시 데이터 구축 대작전)
- 제4회 노회찬상 특별상
2023년
2024년
- 2023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
- 제9회 휴먼테크놀로지어워드 특별부문 최우수상(오픈와치)
- 오마이뉴스 올해의 뉴스게릴라상
Remove ads
주요활동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 대검찰청 저질 연구용역 공개[33]
- 서울 지하철역 실내 미세먼지 농도 분석[34]
- 정몽준 전 국회의원 26년 의정활동 발의 의안 분석[35]
- 문용린 전 서울시 교육감 업무추진비 지출 식당 및 부정 지출의혹 분석[36]
- NK지식인연대 통일부 지원금 수령 후 사업 미진행 사실 공개[37]
세월호 및 해양재난 관련 정보공개
2015년
- 이완구 전 국무총리후보 충남도지사 재직 시절 업무추진비 현금 사용과다 정황 공개[45]
- 대통령 비서실 정보공개 의무 미이행에 따른 감사청구[46]
- 이명박 전 대통령 비밀기록 생산현황 보고 미이행 사실 공개[47]
- 민주화 적폐 주장 대통령 비서실 발주 연구용역 공개[48]
- 서울 부동산 보유 지방 지역구 국회의원 재산 내역 분석[49]
- 메르스 확산 시기 정부의 감염병 매뉴얼 무시 정황 공개[50]
- 교육부와 국사편찬위원회에 역사 및 한국사 국정교과서 집필진 정보공개청구[51]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과 공동으로 국정교과서 집필진 공개거부취소소송[52]
2016년
2017년
2018년
- 이명박 전 대통령 영포빌딩 사건에 대한 대통령기록물 무단유출 혐의로 검찰고발[65]
- 국민헌법특별주문위원회에 정보기본권 신설 조문안 제출[66]
- 전국 대학교 전임교원 여성비율 분석[67]
- 알권리감시단 서울 25개 기초의회 업무추진비 내역 분석[68][69][70][71][72][73][74][75][76]
- 전국 시군구 기초의회 의정연수내역 분석[77]
- 좋은예산센터, 세금도둑잡아라와 함께 이은재, 백재현, 황주홍, 강석진 국회의원 정책연구 용역비리에 의한 사기 죄 고발 및 서청원 의원 수사의뢰[78]
- 좋은예산센터, 세금도둑잡아라 등과 공동 진행한 정책연구 분석을 통해 정책보고서 표절, 허위연구용역 등 비리혐의 의원들 연구비 자진 국고 반납액 1억원 초과[79]
2019년
- 서울시 25개구 공무원 음주운전 적발 내역 공개[80]
- 전국 광역단체 공무원 음주운적 적발 및 징계내역 공개[81]
- 2014년~2019년 기초의회 의원 징계내역 공개[82]
- 20대 국회의원 2019년 재산공개(스프레드시트)[83]
- 경찰발전위원회 명단 공개거부취소소송[84]
- 공직사회 성매매 관련 징계현황과 문제점 분석[85][86]
- 서울시 자치구의회 공무국외연수 결과보고서 분석[87], 국회 정책연구위원 해외출장 결과보고서 분석[88]
- 세계일보와 [알권리는 우리의 삶이다] 연재 공동기획[89][90][91][92][93][94][95][96][97][98][99][100][101][102][103][104][105]
- 1997 외환위기 아카이브 개설[106]
- 문화훈장 수훈 671건 분석[107]
2020년
- 의원기록 기증과 보존을 요청하는 국회의원실록 캠페인 진행[108]
- 국회 입법 및 정책개발비로 제작된 연구보고서와 정책자료집 검증작업[109]
- 20대 국회 정보공개정책 및 알권리에 관한 의정활동 분석[110][111]
- 화난사람들과 대학교 비대면 부실강의 관련 정보공개청구 실행
- 서울시 25개 자치구 정보공개 운영현황 전수조사, 서울시 시민감사 옴부즈만위원회에 감사 청구[112][113]
- 정보공개법 개정안에 대한 의견서 제출[114]
- 경기도 정보공개 현황 실태분석[115]
- 시민을 위한 공공데이터 정책 토론회 개최[116][117]
1997 외환위기 아카이브 업데이트
코로나19와 정보인권
2021년
- 2021년 국회고위공직자 재산신고 내역 데이터화[127][128][129]
- 민선 7기 226개 기초의회 2927명 의원의 재산, 징계, 겸직현황 데이터 구축[130][131]
- 정보공개청구 교육 영상 시리즈 제작[132]
- 2021 데이터 액티비즘 스쿨: 활동의 기술 진행[133]
-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대한 정부광고 정보공개소송 승소[134]
국회의원 기록법 제정 캠페인
국정원 정보공개 프로젝트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