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트라페지움 (소설)

타카야마 카즈미의 소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트라페지움》(일본어: トラペジウム 도라페지우무[*], trapezium)은 타카야마 카즈미가 지은 일본소설이다. 일러스트는 타에가 담당했다.[1]

간략 정보 장르, 저자 ...

《트라페지움》은 타카야마 카즈미의 소설가 데뷔작이다.[2] 아이돌 타카야마 카즈미가 아이돌을 목표로 하는 소녀에 대해 글을 지어[3], 잡지 《다빈치》의 2016년 5월호부터 2018년 9월호까지 게재되고 있던 연재 소설이다.[4]

2018년 11월, 단행본화(KADOKAWA).[5] 서적화에 따라 대폭적으로 가필 수정되어 나카무라 후미노리, 하다 케이스케가 띠지 코멘트를 했고,[4] 2019년 2월 7일 이후의 가게의 앞쪽 6쇄분에는 니시노 나나세의 한정 띠지 코멘트가 부속되었다.[6] 2020년 4월, 문고본화(카도카와 문고), 이것을 기념해 인스타그램의 계정을 개설했다. 번역본으로서 대한민국, 대만판이 발매되고,[7] 같은 해 7월에 중국어 간체자판도 발매되었다.[8] 도서명의 《트라페지움》은 오리온 성운의 어린 별의 성단을 가리킨다.[9]

Remove ads

줄거리

아이돌을 목표로 하는 여고생 아즈마 유우의 이야기.

귀국자녀 주인공 아즈마 유우는 캐나다에 있었을 무렵 녹화 테이프에 기록된 노래를 통해 아이돌을 알게 된다. 별을 가리키는 《트라페지움》이라는 제목은 그 아이돌이 발하고 있던 빛에서 유래한다. 그 빛에 감동한 유우는 아이돌이 되고 싶다. 고등학교 진학 후 아이돌이 되기 위해 4가지 규칙을 세우고 고등학교 생활을 보내는 유우는 아이돌을 뜻하는 멤버를 모아 4인조 그룹을 결성한다. 종반, 제목 "트라페지움"의 의미가 밝혀진다.

등장인물

아즈마 유우(東ゆう)
성우 - 유이카와 아사키[10]
주인공. 아이돌 지망의 여고생.[4] 프로듀싱 능력을 가졌지만 심중에서 독을 뿜는 성격.
타이가 쿠루미(大河くるみ)
성우 - 요미야 히나[11]
서쪽 지역에 사는 로봇 콘테스트에 열중하는 공업고등전문학교 공학 소녀. 남성이 좋아하는 '귀여움'을 담은 듯한 아이. 자원봉사가 취미.
카토리 란코(華鳥蘭子)
성우 - 우에다 레이나[12]
남쪽 지역에 사는 아가씨.
카메이 미카(亀井美嘉)
성우 - 아이카와 하루카[13]
북쪽 지역에 사는 아즈마의 초등학교 동창. 어두운 아우라를 입은 검은 롱 헤어의 여고생.
쿠도 신지(工藤真司)
성우 - 키마타 쇼야(JO1)[14]
카메라를 좋아하는 남자.
이타미 슈이치(伊丹秀一)
성우 - 우치무라 테루요시[14]
통역.

극장 애니메이션

2023년 12월에는 극장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어 2024년 5월 10일에 공개되었다. 제작은 《SPY×FAMILY》 시리즈와 《봇치 더 록!》 등의 CloverWorks가 다룬다.[10]

스태프

  • 원작·감수 - 타카야마 카즈미
  • 감독 - 시노하라 마사히로
  • 각본 - 카키하라 유코
  • 캐릭터 디자인 - 리오
  • 총작화 감독 - 리오, 케로리라
  • 의상 디자인 - 이토 마사코
  • 프롭 디자인 - 쿠하라 요코, 와타나베 코지, 이토다 아카네
  • 2D 디자인 웍스·특수효과 - 사이토 무츠미
  • 미술 감독 - 타무라 세이키
  • 색채 설계 - 나카시마 카즈코
  • 촬영 감독 - 세키야 요시히로
  • 3D 디렉터 - 미야지 카츠아키
  • 편집 - 미시마 아키노리
  • 슈퍼바이저 - 마스나리 코지
  • 별하늘 사진협력 - KAGAYA
  • 음악 - 요코야마 마사루
  • 음향 감독 - 아케타가와 진
  • 제작(制作) - CloverWorks
  • 제작(製作) - 트라페지움 제작위원회
  • 배급 - 애니플렉스

주제가

なんもない feat. 星街すいせい, sakuma.
MAISONdes의 주제가. 보컬은 호시마치 스이세이.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