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팽성읍 객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팽성읍 객사
Remove ads

팽성읍 객사(彭城邑 客舍)는 조선시대 팽성현의 객사이다. 1989년 6월 1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7호로 지정되었다.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Remove ads

개요

팽성읍 객사는 조선시대 팽성현의 객사로 현종(1659~1674) 때 크게 중창하였고, 다시 영조 36년(1760)에 중수하고, 순조 1년(1801)에 또 다시 중수한 것이다.

현재는 대문간채와 본채가 남아 있는데, 본채는 전체 9칸 가운데 3칸은 중대청이고, 좌·우에 동·서헌이 각각 3칸씩이다. 중대청은 안에 왕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시고 고을 수령이 한달에 두 번 배례를 올리던 곳으로 이곳은 굵은 원형 기둥에 초익공을 결구하고 지붕도 동·서헌보다 높여 건물의 격식을 높였다.

동·서헌은 다른 지방에서 온 관리들이 머물던 숙소로 사용되었다. 대문간채의 중앙에 1칸의 대문이 있는데 솟을지붕으로 꾸몄다. 중대청과 대문의 지붕 용마루 양끝에는 용두를 놓아 관리청으로서의 위엄을 나타냈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