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폐하의 아프리카 소총연대

1902년부터 1960년대까지 동아프리카의 영국군 연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폐하의 아프리카 소총연대
Remove ads

폐하의 아프리카 소총연대(King's African Rifles, KAR)는 1902년 영국령 동아프리카 식민지에서 창설된 영국 식민지 보조군 연대였다. 이 연대는 주로 식민지 내에서 내부 보안 임무를 수행했으며, 세계 대전말라야 비상사태마우 마우 봉기와 같은 다른 분쟁 시기에는 다른 지역에서 군사 복무를 수행했다. 연대의 사병은 아프리카 원주민으로 구성되었고, 대부분의 장교는 영국 육군에서 파견되었다. 1960년대 아프리카의 탈식민지화의 일환으로 더 많은 아프리카 장교들이 연대에 임명된 후 점차 해산되었다. KAR 대대는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새로 설립된 군대의 핵심을 형성하게 된다.

간략 정보 폐하의 아프리카 소총연대 ...
Remove ads

군복

Thumb
1938년 플레이어스 담배 카드에 실린 폐하의 아프리카 소총연대의 준위
Thumb
1902년 에드워드 7세와 알렉산드라 여왕의 대관식에 참석한 KAR 파견대, 존 벤저민 스톤 촬영. 기록된 노트는 일부가 수단인임을 나타낸다.

독립 전까지 KAR의 예식복은 카키색 드릴과 높은 페즈커머번드로 구성되었다. 후자는 보통 빨간색이었지만, 니아살랜드 부대와 같은 일부 대대는 검은색 페즈를 착용하는 등 구별이 있었다. 1914년 이전에는 연대의 야전 근무복은 짙은 남색 저지푸티, 카키색 반바지, 접을 수 있는 천으로 된 챙과 목 덮개가 통합된 카키색 페즈 커버로 구성되었으며 이 디자인은 인도에서 조달한 봉인된 견본에 따른 것이었다. 주목할 점은 이것이 공식 규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898년의 한 설명문에서는 장비와 군복이 '구할 수 있는 모든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초기에는 장비 부족이 연대를 괴롭혔다.[1][ 나은 출처 필요]

1898년에는 복역, 7일 영창, 5실링 이상의 벌금, 또는 체벌 선고를 받지 않은 사람들에게 월 5실링에서 추가 1실링을 지급하는 선행 띠도 도입되었다. 또한, 1888년 슬레이드–월러스 영국 장비와 유사하지만 현지에서 생산된 갈색 가죽 장비를 착용했다. 아스카리는 샌들을 신거나 맨발이었는데, 이는 당시의 무거운 군화가 이전에 신발을 신어본 적 없는 아프리카 신병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에서였다.[2][3] 페즈에는 아라비아 숫자 또는 로마 숫자가 새겨져 있었으며, 전시 중 창설된 대대는 기하학적 형태의 천 패치 위에 이들을 착용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모든 짙은 남색 품목이 카키색으로 대체되었고, 카키색 덮개가 있는 짧은 필박스 모자가 전역 시 착용되었다. 전쟁 후에는 카키색 셔츠가 칼라 없는 청회색 앙고라 셔츠인 "그레이백"으로 대체되었다. 장교와 상급 부사관은 유색 해클이 달린 슬라우치 햇을 착용했다.

Remove ads

편성

1902년 중앙아프리카 연대 (CAR), 동아프리카 소총연대 (EAR), 우간다 소총연대가 합병하여 6개 대대가 편성되었으며, 니아살랜드, 케냐, 우간다, 영국령 소말릴란드에 각각 1~2개의 대대가 배치되었다.

  • 제1 (니아살랜드) 대대 [1902–1964], 8개 중대 (구 1CAR)
  • 제2 (니아살랜드) 대대 [1902–1963], 6개 중대 (구 2CAR)

제1 및 제2 대대는 제1 및 제2 중앙아프리카 대대로도 알려져 있었다:

  • 제3 (케냐) 대대 [1902–1963], 7개 중대 및 낙타 중대 (구 동아프리카 소총연대)
  • 제4 (우간다) 대대 [1902–1962], 9개 중대 (구 우간다 소총연대 아프리카 중대)
  • 제5 (우간다) 대대 [1902–1904], 4개 중대 (구 우간다 소총연대 인도 파견대) – 최초로 창설되어 최선임 대대였다.
  • 제6 (영국령 소말릴란드) 대대 [1902–1910], 3개 보병 중대, 낙타 부대, 민병대 및 영국령 소말릴란드 현지군의 기마 보병으로 구성되었다.[4]

창설 당시 이 6개 대대에는 일반 연대 참모진 외에 정규 참모 체계가 없었으며, 1년에 두 차례 순찰하고 외무부에 보고하는 감찰관이 있었다.[5]

제5대대와 제6대대는 식민지부의 비용 절감 조치와 백인 정착민이 대규모 토착 무장 병력의 존재에 대한 우려로 인해 1910년까지 해산되었다.

Remove ads

작전사

요약
관점

소말릴란드 전역

1900년대 초, 폐하의 아프리카 소총연대는 모하메드 압둘라 하산 (영국인에게 '미친 물라'로 알려짐)과 데르비시에 대항하여 소말릴란드 전역에 참여했다. KAR 제1 (중앙아프리카) 대대의 알렉산더 코브 중령은 1902년 10월 6일 에레고에서의 활약으로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받았다.[6]

KAR은 1920년에 데르비시 운동을 격파한 영국 공지 합동군의 일부였다.

제1차 세계 대전

Thumb
1902년 케냐에서 창설된 KAR 제3대대 원본

KAR은 제1차 세계 대전을 3개 대대에 21개의 소규모 중대(각 대대는 1913년 이전 영국 반중대 조직 및 장비표에 따라 최대 8개 중대)로 시작했다. 이들은 제1 니아살란드 대대(대대 절반은 니아살란드 북동부에 주둔), 제3 동아프리카 대대(한 중대는 잔지바르에 주둔), 제4 우간다 대대였으며, 후자 두 대대 모두 수단인으로 구성된 제4 소대를 포함했고 제4대대의 제4 소대는 수단인 장교가 이끌었다. 또한 이 중대는 영국 동아프리카 전역에 흩어져 있었다.

1914년 KAR의 완전 병력은 영국인 장교 70명, 영국인 부사관 3명, 아프리카인 2,325명이었다. 포병이나 조직화된 예비군을 포함한 자체 중화기는 없었고(각 중대는 기관총 1정 보유), 중대들은 실제로는 70~80명 규모의 대규모 소대였다.

Thumb
말라위 좀바의 폐하의 아프리카 소총연대 전몰자 기념비
Thumb
다르에스살람아스카리 기념비

1915년에 KAR은 3개 대대를 표준 4개 중대 대대로 재편성하고 각 대대를 1,045명으로 충원하면서 확장되었다. 제2 니아살란드 대대와 제5 케냐 대대[1916–1963]는 1916년 초에야 재창설되었는데, 이는 케냐의 백인이 다수의 흑인 아프리카 병사를 무장시키고 훈련시키는 것에 대한 민감성 때문이었다. 1916년 후반에 제2, 제3, 제4 대대는 각자의 출신 지역에서 병력을 모집하여 두 개 대대로 확장되었다. 호스킨스 장군 (전 KAR 감찰관)이 1917년에 영국 동아프리카군 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비로소 진정한 확장이 시작되었다. 제1대대는 두 배로 증원되었고, 제6 (탕가니카 영토) 대대는 구 독일령 동아프리카슈츠트루페에서 모집되어 역시 두 배로 증원되었다. 제7대대는 잔지바르 무장 경찰대와 마피아 경찰대에서 편성되었다. 1917년 후반에 더 많은 중복 대대가 창설되었는데, 이는 처음 4개 대대(이제 영국 전통에 따라 연대로 불림)가 각각 제3대대와 제4 또는 훈련 대대를 창설했기 때문이다. 제4연대는 우간다에서 병력을 모집하여 제5 및 제6이라는 추가 두 개 대대를 창설했다. 원래 제3연대의 일부였던 KAR 기마 보병 부대(낙타 기병)와 KAR 통신 중대도 창설되었다.

따라서 1918년 후반, KAR은 다음과 같이 22개 대대로 구성되었다.

  • 서부군: 제1 KAR 연대의 제1, 제2, 제3 대대; 추가로 제4 KAR 연대의 제1, 제2 대대
  • 동부군: 제2 KAR 연대의 제1, 제2, 제3 대대; 제3 KAR의 제1, 제2 대대; 추가로 제4 KAR 연대의 제3, 제4 대대
  • 독일령 동아프리카 주둔군: 제3 KAR의 제3 대대, 제4 KAR의 제5 대대, 제6 KAR의 제2 대대, 제7 KAR의 제1 대대
  • 영국 동아프리카 주둔군: 제5 KAR의 제1 대대, 제6 KAR의 제1 대대
  • KAR 훈련군: 제1 KAR의 제4 대대, 제2 KAR의 제4 대대, 제3 KAR의 제4 대대, 제4 KAR의 제6 대대

KAR의 확장 과정에는 부대 병력을 영국군 및 영국령 인도 육군 제국 복무 부대와 동일한 규모로 증원하는 것과 함께 백인 장교 및 부사관의 수를 늘리는 것이 포함되었다. 스와힐리어를 구사하는 백인 부족으로 인해 간부 증원이 어려웠는데, 많은 백인 정착민들이 이미 동아프리카 기마 소총연대, 동아프리카 연대, 우간다 자원 소총연대잔지바르 자원 방위군과 같은 분리된 부대를 결성했기 때문이었다.

연대는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독일 사령관 파울 에밀 폰 레토포어베크와 독일령 동아프리카 주둔군에 맞서 싸웠다. 내륙으로의 수송 및 지원은 40만 명 이상의 수송대원이 제공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KAR은 영국인 장교 1,193명, 영국인 부사관 1,497명, 아프리카인 30,658명(총 33,348명)으로 구성된 22개 대대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위에서 언급했듯이 두 개 대대는 옛 독일 아스카리 출신이었다. 피터 애봇은 『동아프리카의 군대 1914–18』에서 포로 출신으로 모집된 KAR 부대가 충성심의 갈등을 피하기 위해 영국군에서 주둔군으로 사용되었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이 대대 중 하나는 1917년 2월부터 10월까지 하우프트만 빈트겐스(Hauptman Wintgens) 지휘하의 부대를 추격하는 데 관여했다.

KAR의 제1차 세계 대전 사상자는 전사 및 부상자 5,117명,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 3,039명이었다.[7]

전간기

전간기 동안 KAR은 점차 해산되어 6개 대대 규모의 평시 편제로 복귀했고, 이 병력으로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유지되었다. 1938년에는 "북부 여단"과 "남부 여단"으로 편성된 두 개의 여단 규모 부대로 구성되었다.[8] 두 부대의 총 병력은 장교 94명, 부사관 60명, 아프리카인 사병 2,821명이었다. 전쟁 발발 후, 이 부대들은 KAR의 급속한 확장을 위한 훈련된 핵심 병력을 제공했다. 1940년 3월까지 KAR의 병력은 장교 883명, 부사관 1,374명, 아프리카인 사병 20,026명에 달했다.[9]

제2차 세계 대전

Thumb
1941년 9월 28일 에티오피아 볼체피트 고개. KAR 병사가 동아프리카 전역이 끝날 무렵 이탈리아군이 항복한 무기를 수거하고 있다.
Thumb
1941년 북아프리카에서 이탈리아-독일군에게 포로로 잡힌 영연방군

KAR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여러 전역에서 싸웠다. 동아프리카 전역에서는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의 이탈리아군에 맞서 싸웠고, 마다가스카르 전투에서는 비시 프랑스에 맞섰으며, 버마 전역에서는 일본군에 맞섰다. 소말릴란드 대대는 1940년 8월의 이탈리아 침공에 맞서 식민지를 방어했지만, 8월 11일부터 15일까지 투그아르간 전투에서 패배한 후 후퇴하고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10]

KAR 부대는 제1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과 제2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의 일부로 배치되었다. 제1 여단은 해안 방어를, 제2 여단은 내륙 방어를 담당했다. (남아프리카 제보병사단 참조). 1940년 7월 말까지 제3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과 제6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이라는 두 개의 추가 동아프리카 여단이 편성되었다. 처음에는 해안 사단과 북부 국경 지역 사단이 계획되었으나, 대신 제11아프리카사단제12아프리카사단이 편성되었다.

Thumb
친뒨강 도하 중 버마 칼레와로 향하는 길의 제11 (동아프리카) 사단 병사

두 사단은 동아프리카인, 가나인, 나이지리아인, 남아프리카인 병사들로 구성되었다. 가나인과 나이지리아인 병사들은 왕립 서아프리카 국경군 출신이었다. 전쟁 비상 계획에 따라 골드코스트 (현 가나)와 나이지리아에서 각각 1개 여단이 케냐 복무를 위해 파견되었다. 나이지리아 여단은 두 개의 동아프리카 여단 (KAR 여단) 및 일부 남아프리카인과 함께 제11 아프리카 사단을 구성했다. 제12 아프리카 사단도 유사하게 편성되었지만, 나이지리아 여단 대신 가나 여단이 배치되었다. 1941년, 동아프리카 전역 중 제1/6대대의 나이젤 그레이 리키 병장이 빅토리아 십자훈장 (VC)을 받았다.

제11 아프리카 사단은 1941년 11월 해산되었고, 제12 아프리카 사단은 1943년 4월 해산되었다. 1943년 제11 (동아프리카) 사단이 창설되어 버마 전역에서 싸웠다. 두 개의 독립 보병 여단이 동아프리카에서 인도로 파견되어 버마에서 복무했다. 제22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은 인도 제15군단 소속으로 아라칸에서 복무했으며, 제28 (동아프리카) 보병 여단은 제4군단 소속으로 이라와디 강 도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쟁이 끝날 무렵, 연대는 43개 대대 (영국령 소말릴란드에 2개 대대 포함), 9개 독립 수비대 중대, 기갑차량 연대, 포병 부대, 공병, 통신 및 수송 부대를 창설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Thumb
마우 마우 봉기 중 폐하의 아프리카 소총연대 병사들이 말을 타고 보급품을 운반하고 있다.
Thumb
1963년 12월; KAR 제2대대 병사들이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에서 마지막으로 유럽인 장교들과 함께 행진하고 있다.

연대는 케냐 마우 마우 봉기 (1952~1960)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52년, 제7 (케냐) 대대가 재편성되었고, 1956년에 제11 (케냐) 대대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예비 부대인 제2/3 대대는 케냐 비상사태의 군사 단계 중에 창설되었으며, 1957년까지 해산이 고려되었다.[11] 연대 소속 한 중대가 1953년 6월 추카 학살을 자행했다.[12]

제1, 제2, 제3 대대는 말라야 비상사태에 참전하여 공산주의 반군과의 전투에 깊이 관여했으며, 23명이 사망했다. 연대는 1957년 동아프리카 지상군으로 개칭되었다. KAR의 마지막 연대장엘리자베스 2세였다.

KAR이 모집되었던 여러 영토들이 독립하면서 연대는 해체되기 시작했다.

  • 제1 대대  말라위 소총연대 제1대대
  • 제2 대대  북로디지아 연대 제2대대 (이후 잠비아 연대)
  • 제3 대대  케냐 소총연대 제3대대[13]
  • 제4 대대  우간다 소총연대 제1대대 (이후 우간다군의 기반을 형성)
  • 제5 대대  케냐 소총연대 제5대대[13]
  • 제6 대대  탕가니카 소총연대 제1대대
  • 제11 대대  케냐 소총연대 제11대대
  • 제26 대대  탕가니카 소총연대 제2대대

KAR의 전통이 옛 동아프리카 식민지들의 현대 국군에 미치는 영향은 나라마다 다르다. 탄자니아에서는 1964년 반란이 발생하여 영국 군사 모델에서 벗어나려는 의식적인 결정이 이루어졌다. 반면 케냐에서는 케냐 소총연대라는 명칭이 살아남았고,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KAR이 공을 세운 여러 전역들이 여전히 기념되고 있다.

아프리카 동해안에 위치한 모리셔스 섬에는 1960년까지 폐하의 아프리카 소총연대 파견대가 주둔했다. 이들은 점차 새로 창설된 특수 기동대 (SMF)와 경찰 폭동 진압대 (PRU)로 대체되었다.

현재는 케냐 소총연대말라위 소총연대만이 존재한다.

Remove ads

전투 명예휘장

연대 산하 대대는 1924년까지 군기를 수여받지 못했는데, 이는 소연대가 전통적으로 군기를 소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군기에는 연대의 많은 전투 명예휘장이 새겨져 있었다. 구 군기는 1950년대에 교체되었다.

  • 아샨티 1900 (중앙아프리카 연대의 공로로 1908년 수여), 영국령 소말릴란드 1901~04
  • 제1차 세계 대전 (7개 대대): 킬리만자로, 나룽곰베, 냥가오, 동아프리카 1914~18
  • 제2차 세계 대전: 아포두, 모얄레, 토덴양-나무라푸트, 소로파, 주바, 벨레스 구가니, 아와시, 피케, 콜리토, 오모, 곤다르, 암바조, 쿨카베르, 아비시니아 1940–41, 투그 아르간: 영국령 소말릴란드 1940, 마다가스카르, 중동 1942, 모울라익, 칼레와, 세이크퓨, 레세, 아라칸 해변, 타웅업, 버마 1944–45
Remove ads

지휘관 목록

감찰관
  • 1901년 10월 – 1907년 윌리엄 헨리 매닝 준장[14]
  • 존 고프 준장
  • 1909년 – 1913년 조지 테시거 대령

주목할 만한 복무자

  • 조지 기파드 경 (1886–1964) – KAR 복무 1913–1919, 영국 육군 장교
  • 잭슨 멀린게 장군 (1924–2014) – KAR 복무 1942–1961, 케냐 육군 장교
  • 티토 오켈로 루트와 중장 (1914–1996) – KAR 복무 1940–1962, 우간다 민족 해방군 (1979–1986), 우간다 대통령 (1985)
  • 데이비드 무수구리 중장 (b.1920) – KAR 복무 1942–1957, 탄자니아 인민방위군 장교
  • 프레디 드 귄간드 경 소장 (1900–1979) – KAR 복무 1926–1931, 영국 육군 장교
  • 존 버틀러 월든 소장 (1939–2002) – KAR 복무 1957–1961, 탄자니아 인민방위군 장교
  • 샤반 오폴로트 준장 (1924–2005) – KAR 복무 1945–1962, 우간다 육군 장교
  • 헨리 워커 준장 DSO (1874–1953) – KAR 복무 1900–1910, 영국 육군 장교
  • 리처드 마이너츠하겐 대령 (1878–1967) – KAR 복무 1902–1906, 영국 정보 장교 및 조류학자
  • 콜린 미첼 중령 (1925–1996) – KAR 복무 1960년대, 영국 군인 및 정치인
  • 에릭 윌슨 중령 VC (1912–2008) – KAR 복무 1937–1946, 영국 육군 장교이자 빅토리아 십자훈장 수여자
  • 트레이시 필립스 대위 MC (1888–1959) – KAR 복무 1913–1917, 영국 공무원
  • 데이비드 고든 하인스 대위 (1915–2000) – KAR 복무 1939–1942, 영국 회계사 및 식민지 행정관
  • 이디 아민 중위 (1925–2003) – 1946–1962 복무, 우간다 대통령 (1971–1979)
  • 로알드 달 중위 (1916–1990) – KAR 복무 1939, 영국 소설가이자 아동 작가
  • 피터 홉커크 중위 (1930–2014) – 1950년대 복무, 영국 언론인 및 역사가
  • 조지 셰퍼슨 중위 (1922–2020) – 1943–1946 복무, 영국 역사가
  • 시릴 테일러 소위 (1935–2018) – 1954–1956 복무, 영국 교육자이자 사회 기업가
  • 나이젤 리키 병장 VC (1913–1941) – 1939–1941 복무, 영국 군인 및 빅토리아 십자훈장 수여자
  • 와루히우 이토테 상병 (1922–1993) – 1942–1945 복무, 마우 마우 봉기의 주요 인물
  • 로버트 프레이저 (1937–1986) – 1950년대 복무, 영국 미술상
  • P. J. 마셜 (b.1933) – 1950년대 복무, 영국 역사가
  • 존 눈넬리 (1922–2013) – 1941–1945 복무, 영국 육군 장교 및 사업가
  • 존 시모어 (1914–2004) – 1939–1945 복무, 영국 작가이자 활동가
  • 조지 스미스 병장 (1921–2013) 축구 선수
Remove ads

같이 보기

  • 아프리카 무공훈장
  • 비카네르 낙타 군단
  • 제2차 세계 대전의 골드코스트
  • 영국-이집트 수단의 역사
  • 제2차 세계 대전의 케냐
  • 케냐 연대
  • KiKAR
  • 폐하의 아프리카 소총연대 장기 복무 및 선행 훈장
  • 제2차 세계 대전의 니아살란드
  • 동아프리카 전역 (제2차 세계 대전) 전투 서열
  • 로디지아 아프리카 소총연대
  • 소말릴란드 낙타 군단
  • 제2차 세계 대전의 남로디지아
  • 수단 방위군

각주

참고 문헌

추가 자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