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폐활량

최대한 숨을 들이마신 다음 내뱉을 수 있는 공기의 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폐활량
Remove ads

폐활량(肺活量, vital capacity, VC)은 사람이 최대한 숨을 들이마신 후에 내뱉을 수 있는 공기의 최대 양이다. 폐활량은 들숨예비량(IRV), 일회호흡량(TV), 날숨예비량(ERV)의 총합과 같다. 또한 강제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과는 크기가 거의 같다.[1][2]

Thumb
폐활량측정의 결과 그래프

사람의 폐활량은 폐활량측정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생리적 측정과 더불어, 폐활량은 기저 폐질환을 진단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또한 폐활량은 신경근 질환에서 호흡근에 얼마나 심하게 문제가 생겼는지 밝히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길랑-바레 증후군이나 중증 근무력증의 치료법 결정 시에도 활용될 수 있다.

정상 성인의 폐활량은 3 ~ 5L이다.[3] 이 값은 나이, 성별, 신장, 체중, (아마도) 인종에 의해서 달라진다.[4] 가령 건강한 성인 남성의 폐활량은 약 3.5L, 여성은 2.5L 정도이며 수면 시에는 0.5L 정도로 떨어진다.[5] 그러나 인종에 대해서는 연구가 잘 되어 있지 않으며, 19세기 흑인 노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인종 간 폐활량 차이에 대한 첫 연구였다.[6] 이 연구는 환경적인 요인이 합쳐져 그 결과를 그대로 신용하기는 어렵다.[7]

폐용적(lung volume)과 폐용량(lung capacity)은 호흡 주기의 서로 다른 시점에서의 공기의 부피를 나타낸다. 폐용적은 바로 측정할 수 있으나 폐용량은 폐용적 값들 간의 계산을 통해 알아내야 한다.

Remove ads

진단적 가치

폐질환의 원인을 감별하는 데에 폐활량 검사를 이용할 수 있다. 제한성 폐질환에서는 폐활량이 감소하지만 폐쇄성 폐질환의 경우 대개 폐활량이 정상이거나 약간 감소한다.[8]

추정 폐활량

자세한 정보 신장, 폐활량 (cm3) ...
자세한 정보 나이, 폐활량 (cm3) ...

공식

폐활량은 신장이 클수록 증가하고 나이를 먹을수록 감소한다. 폐활량을 추정하기 위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3]


의 단위는 cm3이며 대략적인 폐활량이다. 는 나이, 의 단위는 cm이며 신장이다.

Remove ads

각주

추가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