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말하우트 b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포말하우트 b는 남쪽물고기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약 25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외계 행성이다.[3] 이 행성의 어머니 항성은 포말하우트로 분광형 A3V의 백색 주계열성이다. 2008년 허블 우주 망원경이 찍은 사진을 통해 발견되었다.[2] 허블 우주망원경은 포말하우트 b 외에도 동시에 HR 8799의 행성을 발견했다. 이들은 직접 사진을 찍어서 존재가 입증된 최초의 외계 행성으로 기록되었다. 2008년 미국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천문학자들은 '2008년을 빛낸 가장 놀라운 5가지 사건(Top 5 Amazing Astronomy Discoveries in 2008) 중 포말하우트 b의 발견을 첫 번째로 꼽았다.[4] 그러나 2020년, 조지 리케 박사의 연구로 포말하우트 b가 소행성 2개의 충돌의 산물인 먼지구름이라는 주장이 나오게 된다.
포말하우트 b | |
![]() 포말하우트 b의 상상도. b의 주변에는 거대한 규모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 |
모항성 | |
---|---|
이름 | 포말하우트 |
별자리 | 남쪽물고기자리 |
적경 | 22h 57m 39.1s |
적위 | -29° 37′ 20″ |
거리 | 25 ± 1 광년(7.66 ± 0.04 파섹) |
겉보기 등급 | +1.16 |
형태 | A3V |
궤도요소 | |
평균거리(AU) | 177 AU[1] |
근일점(AU) | 109 AU |
원일점(AU) | 245 AU |
이심률 | 0.8 ± 0.1[1] |
공전주기 | ~1700년[1] |
궤도경사각 | −55° ± 14[1] |
물리적 특징 | |
질량 | 0.054 - 3 MJ |
발견 정보 | |
발견일 | 2008-11-13 |
발견자 | 칼라스 연구진[2] |
발견방법 | 직접 촬영 |
발견지역 | 허블 우주 망원경 |
상태 | 검증됨 |
외계 행성 목록 |
발견


포말하우트 b는 포말하우트를 약 115 천문단위(172억 킬로미터) 거리를 두고 공전하고 있으며 이는 포말하우트 주변에 형성된 먼지 원반보다 항성 쪽으로 18 천문단위(27억 킬로미터) 가까운 거리이다.[6] 포말하우트 b는 가시광선을 통해 직접 그 상(像)을 찍은 최초의 행성이다. 이 행성의 위치를 찾는 데는 8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7]
b의 존재는 예전부터 이론적으로 예측되었다. 2005년 포말하우트 주변의 먼지 원반이 한 쪽으로 쏠려 있는데다 통상의 먼지 원반들과는 달리 원반 안쪽 경계면이 뚜렷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 미지의 천체가 원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예상했었다.[8][9] 그러나 오랫동안 행성의 실체를 포착하지 못하다가, 2008년 5월 폴 캘라스가 2004년, 2006년의 사진을 대조하여 비로소 행성을 찾아내게 되었다.[7]
캘라스는 이렇게 말했다.
“ | 이전에 결코 본 적이 없었던 한 행성을 찾아낸 것은 심오하고도 짜릿한 경험이었습니다. 5월 말 포말하우트 b가 항성 주위를 돌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을 때 심장이 콱 막히는 것 같았어요.[7] | ” |
미국 항공우주국은 2008년 11월 13일 허블 우주 망원경에 내장된 ACS 카메라가 찍은 사진을 언론에 공개했다. 이 사진에서 바깥쪽 밝은 고리 모양의 띠는 먼지 원반이며, 원반 안쪽 방사상의 무늬는 중심부 항성에서 발산되는 빛 때문에 생긴 것이다.[10] 포말하우트 b는 우리 태양계 밖에서 발견된 천체들 중 가장 차가운 것들 중 하나로 생각된다.[11] 포말하우트계(系)는 지구에서 남쪽물고기자리 방향으로 25광년 떨어져 있다.[3]
물리적 특징
행성의 크기는 목성과 거의 비슷할 것으로 보이며,[7] 최대 질량은 목성의 세 배, 최소 질량은 해왕성 정도이나 가장 유력한 질량값은 목성의 0.5배 ~ 2배 사이이다.[8][12]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115 천문단위 떨어져 있는데, 이는 에리스의 원일점보다 20퍼센트 먼 거리이며 태양 ~ 해왕성 거리의 네 배에 이르는 값이다. 여기서 계산한 포말하우트 b의 1 공전주기는 872년이다.[7] 포말하우트의 밝기는 태양의 약 16배이기 때문에 포말하우트 b가 받는 열은 태양계의 해왕성이 받는 열과 비슷하다(이는 역제곱 법칙에 의거한 계산이다).
가시광선으로 볼 때는 밝으나 적외선 영역에서 어두운 것으로 보아, 포말하우트 b에 목성 반지름의 20 ~ 30배 크기에 이르는 규모의 고리가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비교하자면, 토성의 중심부에서 가장 바깥쪽인 A 고리까지의 너비는 목성 반지름의 2배에 불과하다) 이 정도 크기는 목성의 갈릴레이 위성들의 공전 궤도 크기와 비슷하며 따라서 이 고리는 가스 행성 주위에서 위성이 생겨나는 과정일 가능성이 있다.[2][7][8]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