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포코 이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포코 이론
Remove ads

포코 이론(스페인어: Foquismo)은 쿠바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가 체 게바라가 고안한 유격전 전술이자 사회주의 혁명 이론이다.[1] 정확히 말하자면 독일 사회주의 학생동맹을 이끈 루디 두치케가 체 게바라의 전략 전술은 재구성한 것이다.[2] 또는 소수의 기동력 있는 혁명군이 기존 체제에 대한 대중의 불만을 모아낼 수 있는 초점[3](중심)이 될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초점주의라고 불리기도 한다.

Thumb
1967년 볼리비아의 체 게바라

포코(foco)는 스페인어로, ‘중심’ 혹은 ‘중핵’을 의미한다. 체게바라는 특정한(즉, ‘소수의 헌신적인,’ 혹은 ‘전문적이며 혁명적인’) 게릴라들을 이렇게 불렀다. 이들의 전략은 시골과 산간 지역에 해방구를 형성한 후, 이를 도시에까지 확장시키는 것이었다.[4]

쿠바 혁명 과정에서 피델 카스트로의 공산주의 혁명군은 정부군을 압도한 적이 없었다. 정부군과 비교해보면 카스트로의 공산주의 혁명군은 바티스타 독재정권이 몰락해 쫓겨나는 그 순간까지도 불과 한 줌에 불과했다. 하지만 피델 카스트로의 공산주의 혁명군은 이러한 단점을 모두 극복하고 바티스타 정권을 전복하여 쿠바 혁명을 성공시켰다. 이처럼 쿠바 혁명의 성공 사례는 소수의 인원으로도 얼마든지 혁명이 가능하다는 것을 충분히 입증시켜주었다.[5]

쿠바 혁명의 성공은 민족해방운동가들 및 공산주의 혁명가들에게 큰 충격이었고, 그만큼 매력적이었다. 이 전술을 따르면 투쟁 시작 시점에 많은 자금과 어느 정도의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극소수의 인원이 큰 준비 없이 바로 투쟁에 돌입할 수 있다. 게다가 해방구가 완성되는 과정까지 자신들의 존재를 숨기기도 쉽다. 하지만 해방구가 완성되는 순간, 해방구 안의 정부군은 동물원 우리 속 호랑이에 불과하다. 하지만 해방구가 완성될 때까지 정부군이 눈치를 채기가 힘들다. 그렇다고 해방구 주민들이 자진해서 혁명에 참여한다고 해서 혁명가의 위치가 약해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 과정에서 혁명가의 위치는 더욱 중요해진다. 만약 해방구 주민들이 자진하여 무장 봉기를 일으킬 경우, 정부군의 타격 목표가 되고, 그 결과는 해방구 붕괴이기 때문이다. 즉 해방구는 게릴라와 지역주민의 유기적 결합 형태이지, 지역주민의 게릴라 병사화는 아니다.

볼리비아, 콜롬비아, 베네수엘라에서 체게바라의 포코 이론이 현실화되지 못했지만, 포코 이론은 니카라과 혁명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 전략을 채택함으로써 쿠바 혁명의 성공을 따르려고 했던 시도들은, 라틴 아메리카 혹은 제3세계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미국에 있었던 <웨더 언더그라운드 Weather Underground>와 <흑인 해방군 Black Liberation Army>, <아일랜드 공화군 Irish Republican Army>, 서독의 <적군파 Rote Armee Fraktion>, 이탈리아의 <붉은 여단 Red Brigades>, 캐나다의 <퀘백 해방전선 Front de Liberatíon Quebequois>(FLQ), 스페인의 <바스크 토지와 해방 Basque Land and Liberty>(혹은 Euzkadi Ta Askatasuna, ETA), 또한 프랑스의 <프롤레타리아 좌파 Gauche Proletarian> 등은 모두, (마리겔라, 마오쩌둥, 지압 등은 물론) 체 게바라와 드브레를 신중하게 연구했으며, 쿠바의 혁명의 성공을 다른 나라에게도 옮겼다.

쿠바 혁명의 사례는 서구권의 68운동에도 큰 영감을 주었다. 투쟁을 강조하고, 새로운 사회와 ‘새로운 인간’이라는 전망을 던져주는 피델 카스트로의 연설은, 쿠바인들뿐만 아니라 미국의 젊은이들에게도 전달되었다. 조지 카치아피카스의 신좌파의 상상력이라는 책의 헌사에서 알 수 있다. “북아메리카인들에게 혁명의 완수 가능성을 전해준 쿠바인들과 베트남인들에게, 그리고 이 가능성을 이용하고 있는 북아메리카의 젊은이들에게 이 책을 바친다.”[6]

이러한 흐름에 따라 미국은 라틴 아메리카의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1966년 미국은 파나마에 남부 사령부를 건설했다. 1968년경에는, 파나마에서 미군에게 훈련을 받은 특수 군대가 52차례나 작전을 수행했는데, 1966~1967년에 이 군대는 과테말라, 베네수엘라, 니카라과, 코스타리카는 물론, 볼리비아에도 개입했다.[7]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