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폴리아세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폴리아세탈
Remove ads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아세탈(acetal)[2], 폴리포름알데히드(polyformaldehyde)는 고강성이고 마찰력이 낮으며 뛰어난 치수 안정성이 요구되는 부분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Delrin, Ultraform, Celcon, Ramtal, Duracon, Kocetal, Kepital, Polypenco, Hostaform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간략 정보 이름, 식별자 ...

이 물질의 특징은 −40 °C까지 고강도의 경도와 강성도를 보인다는 점이다. 고결정성 성분으로 말미암아 본질적으로는 불투명한 흰색을 띄지만 모든 색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폴리아세탈의 밀도는 1.4101.420 g/cm3이다.[3]

Remove ads

폴리아세탈수지

이 수지는 포름알데히드의 탄소-산소의 카르보닐(carbonyl)기가 벌여져 다수의 분자가 결합하여 사슬모양으로 결합된 것이다. 이 분자사슬은 탄소-산소의 에테르결합으로 되는 것이다. 탄소-탄소의 결합이 그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120°마다 에너지적인 저항이 있으나 탄소-산소결합에서는 자유로이 회전하기 쉽다. 그러므로 주사슬에 에테르결합이 있으면 분자사슬은 대체로 운동하기 쉽게 된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옥시드도 폴리아세탈수지와 같이 탄소-산소의 에테르결합으로 이어진 사슬 모양의 고분자이고, 탄소-산소 결합으로 되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고무 모양의 물질이다. 이것들은 아직 충분히 실용화되었다고는 말할 수 없으나 특색이 있는 플라스틱이다. 폴리아세탈수지의 경우, 분자의 단위구조가 극히 간단하기 때문에 사슬이 서로 중첩되어 결정을 만든다. 그 때문에 한층 더 단단하고도 강한 수지가 되며, 이 성질을 이용하여 경금속을 대신하는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Remove ads

개발

폴리아세탈은 1953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독일의 화학자 헤르만 슈타우딩거에 의해 발견되었다.[4]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