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표준사회과학모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표준사회과학모델(영어: Standard Social Science Model), 줄여서 SSSM은 사회과학자들의 인간 정형에 대한 전통적 생각의 모음이다. 이와 다른 사회과학의 현대 관점을 IM이라고 부른다.

내용

  1. 인간은 생물학의 법칙에서 벗어난다.
  2. 인체의 진화는 목에서 멈춘다.
  3. 인간의 본성은 빈 서판이다.
  4. 인간의 행동은 거의 전적으로 환경과 사회화의 산물이다.

내용 항목들에 대한 세부 설명

  1. 인간은 행동을 생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유일한 종족이어서 동물의 범주에서 벗어난다는 전제다.
  2. 인간의 신체적 특징은 과거에 있던 진화를 거쳐 지금의 모습을 형성한 것이라고 보며 자연선택자웅선택 이론은 인간에게도 적용되는 것으로 인정한다. 하지만, 진화가 인간의 현 두뇌정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한다.
  3. 개는 개의 본성을 타고났듯이 다른 동물들도 각자의 본성을 타고났다고 생각하는 건 동일하다. 그러나, 인간만은 예외로 타고난 본성이라는 것이 없다는 생각에 차이가 있다.
  4. 인간은 사회화만을 통해 행동방식 및 성차가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Remove ads

발생 및 변천

해당 용어는 존 토비 (John Tooby) 와 레다 코스미데스 (Leda Cosmides )가 1992년 집필한《적응된 마음》에서 처음 소개됐다.[1] 그 책의 저자들은 후에 SSSM이 시대에 뒤떨어졌고 사회과학을 위한 발달 모델은 진화론적 정보가 풍부한 자연의 모델을 필요로한다고 주장했다. Tooby와 Cosmides는 이 새로운 모델을 통합 모델 (IM, Intergrated Model)이라고 불렀다. 토비와 코스미데스는 다음처럼 SSSM과 IM을 비교했다.

자세한 정보 표준사회과학모델, 통합모델 ...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