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하겐-푸아죄유 방정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하겐-푸아죄유 방정식(영어: Hagen-Poiseuille equation 또는 Hagen-Poiseuille law) 또는 푸아죄유 법칙[1](영어: Poiseuille law 또는 Poiseuille equation. 푸아죄유의 법칙)은 1840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장 레오나 마리 푸아죄유(Jean Léonard Marie Poiseuille)에 의해 유도된 방정식으로 관을 흐르는 점성 유체의 유량에 관한 법칙을 말한다. 1839년 독일의 고틸프 하겐(Gotthilf Hagen)이 먼저 발견했기 때문에 하겐-푸아죄유 방정식으로도 불리게 된다.
방정식
여기서
- Δp는 양 끝의 압력 차이,
- L는 관의 길이,
- μ는 유체의 동적 점성(dynamic viscosity),
- Q는 부피흐름률(volumetric flow rate),
- R는 관의 반지름,
- A는 관의 단면적이다.
이 방정식은 관의 입구에서는 유효하지 않다.[5]:{{{1}}}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