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풍저창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풍저창(豊儲窓)은 조선 시대에 있었던 국가의 재용(財用: 재물의 씀씀이)을 수입·지출하는 일을 관장하는 관청이다.
기관 연혁
- 1392년(태조 1년) 7월 28일: 풍저창(豊儲倉의 관제를 정함.[1]
- 1414년(태종 14년) 1월 18일: 풍저창(豊儲倉)의 주부(注簿)를 모두 부승(副丞)이라 칭함[2]
- 1423년(세종 5년) 2월 9일: 풍저창(豊儲倉)의 부제조(副提調) 1명을 없애고 제조(提調) 1명을 늘림.[3]
- 1466년(세조 12년) 1월 15일: 풍저창(豊儲倉)의 사(使)를 수(守)로 고치고 정4품으로 올린다. 그리고 부사(副使)를 주부(注簿)로, 승(丞)을 직장(直長)으로, 부승(副丞)을 봉사로 바꾸고, 부봉사 1명을 더 둠.[4]
- 1469년(예종 1년) 6월 29일: 풍저창의 주부를 1명 더 둠.[5]
- 1637년(인조 15년) 3월 8일: 풍저창을 장흥고에 병합함.[6]
풍저창의 관직표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