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프라샤스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프라샤스티(산스크리트어: प्रशस्ति)는 시인들이 그들의 통치자들을 찬양하기 위해 작곡한 인도의 비문 장르이다. 대부분 서기 6세기 이후로 거슬러 올라간다. 시 또는 화려한 산문의 형태로 쓰여진 프라샤스티는 고정관념적으로 족보, 통치자의 속성, 승리, 경건함을 칭송하며, 전형적으로 그가 준 관대한 선물과 보상의 하나 이상의 발표로 끝이 났다.[1][2] 이는 신, 종교적 창시자(부처, 티르탕카라, 힌두교의 하위 전통), 구루 또는 현자 그리고 일반적으로 수도원, 학교, 사원 또는 관대한 대의에 선물 또는 기부를 발표하는 소위 "컬트" 장르의 인도 비문과는 다르다.[3] 일부 금석문헌에서 프라샤스티는 키르티 또는 푸르바와 동의어로 여겨지며, "누군가 또는 신의 노래와 칭찬"을 의미하는 키르타나라는 단어와 관련이 있다.[4]
그는 평화의 왕, 번영의 왕이다,
승려(비구)의 왕, 종교(다르마)의 왕이다,
축복(칼야나)을 보고, 듣고, 깨닫고 계신 분이다,
(지워짐) 비범한 덕을 성취하셨다,
모든 종파의 존경자, 모든 사원의 수리자,
전차와 군대가 저항할 수 없는 사람,
제국의 수장(자신)으로서 제국을 보호하는 사람,
왕의 현자 바수 가문의 후손으로,
위대한 정복자, 왕, 저명한 카라벨라.
— 기원전 1세기 하티굼파 비문 16-17절[5]

프라샤스티는 일반적으로 화려한 칭호, 신화 속 전설과의 연관성 또는 신들과의 비교, 그리고 종종 전쟁, 승리, 약탈 및 속성에 대한 날조된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2][6] 예를 들어, 그들은 태양 왕조나 달 왕조와 관련된 통치자들의 족보를 만들었으며, 그들의 칭송에서 서사시나 푸라나와 같은 인도 신화와 전설에서 나온 전설적인 영웅들을 암시한다.[1]
광범위한 프라샤스티의 가장 초기의 잘 알려진 예는 기원전 1세기경 혹은 그 즈음에 브라흐미 문자로 된 프라크리트어로 새겨진 카라벨라의 하티굼파 비문이다.[7] 고전 산스크리트어로 된 가장 초기의 프라샤스티 비문은 굽타 시대의 시적 프라샤스티의 원형이 된 루드라다만의 주나가드 비석이다. 남아시아 비문의 학자인 리처드 G. 살로몬에 따르면, 이 비문은 시적 양식에서 최초의 광범위한 찬가 기록이다. 루드라다만 비문의 양식은 후대의 프라샤스티 비문에서도 나타난다.[3][8]
타밀 마이케르티 비문은 프라샤스티와 유사하지만 훨씬 표준화된 형식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6]
Remove ads
예시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