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프랑스 정부수반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 문서는 1598년부터의 프랑스 정부 수반 명단이다.

프랑스는 왕정복고 시대인 1815년의 국무회의 의장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부터 현 총리(2020년), 장 카스텍스까지 총 172명의 정부 수반을 두었다.

정부 수반 직함

요약
관점

역사적으로 프랑스 정부 수반 직위는 여러 직함으로 다르게 불렸다.

"총리(Premier ministre)"라는 직함은 오직 1959년 이후(제5공화국)부터 사용된 직함이나, 앙시앵 레짐 시절 쉴리(1589년)부터 튀르고(1789년)에 이르기까지 국왕 수석장관을 일컫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 표현이다. 1815년부터 1959년까지 전통적으로 정부 수반을 일컫는 직함은 국무회의 의장(Président du Conseil)이었다. 국가 수반과 의회의 관계에 있어서 정부 수반라는 존재는 의회체제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국무회의 의장은 루이 필리프 치세에 매우 중요한 직함으로 여겨졌다. 국무회의 의장이라는 직함은 1849년부터 시작된 프랑스 제2공화국의 대통령제와 함께 사라졌으나 1871년에 먼저 국무회의 부의장(vice-président du Conseil)이라는 직함으로 부활했다. 헌법 투표로 제3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국무회의 부의장은 1876년 다시 국무회의 의장이라는 직함을 되찾았으나, 이전 체제에서처럼 헌법에 명시되지 않은 채 있었다. 결국 국무회의 의장은 제4공화국의 도래(1946년)와 함께 공식화되었으며, 이후 제5공화국에서는 총리(Premier ministre)라는 직함이 도입되었다.

Remove ads

연보

요약
관점

앙시앵 레짐 (1598-1792)

앙시앵 레짐 시절, 프랑스 총리로도 불린 수석국무장관은 수석 고문이자 프랑스 왕의 정부 수반이었다. 직함과 직무는 공식적인 것으로, 왕은 전권을 지녔다.

다음 목록은 공식적으로든 실질적으로든 총리직을 수행한 여러 인물들을 나열한 것이다.

자세한 정보 초상, 이름 (수석국무장관) ...

1792-1814 시기

1792년부터 1815년까지 뒤이은 체제들에서는 정부 수반 직위가 부재했다.

1차 왕정복고 (1814-1815)

자세한 정보 이름, 내각 및 기간 ...

백일천하 (1815)

자세한 정보 이름, 내각 및 기간 ...

2차 왕정복고 (1815-1830)

자세한 정보 이름, 내각 및 기간 ...

7월왕정 (1830-1848)

자세한 정보 이름, 내각 및 기간 ...

제2공화국 (1848-1852)

명단

자세한 정보 이름, 내각 및 기간 ...

기간

Napoléon IIILéon FaucherAlphonse Henri d'HautpoulOdilon BarrotEugène CavaignacFrançois AragoJacques Charles Dupont de l'Eure

제2제국 (1852-1870)

제2제국 시기, 장관들은 사실상의 정부 수반이라 할 수 있는 황제의 변덕에 따라 임명되고 해임되었다. 제국이 몰락할 무렵에는 에밀 올리비에샤를 쿠쟁몽토방이 "내각수반(chef du Cabinet)"이라는 직함을 지녔다.


자세한 정보 이름, 내각 및 기간 ...

국민방위정부 (1870-1871)

자세한 정보 이름, 내각 및 기간 ...

제3공화국 (1871-1940)

명단

자세한 정보 이름, 내각 및 기간 ...

특이사항

기간

Albert LebrunPaul DoumerGaston DoumergueAlexandre MillerandPaul DeschanelRaymond PoincaréArmand FallièresEmile LoubetFélix FaureJean Casimir-PerierSadi CarnotJules GrévyPatrice de Mac MahonAdolphe ThiersPhilippe PétainPaul ReynaudEdouard DaladierLéon BlumCamille ChautempsLéon BlumAlbert SarrautPierre LavalFernand BouissonPierre-Etienne FlandinGaston DoumergueEdouard DaladierCamille ChautempsAlbert SarrautEdouard DaladierJoseph Paul-BoncourEdouard HerriotAndré TardieuPierre LavalThéodore SteegAndré TardieuCamille ChautempsAndré TardieuAristide BriandRaymond PoincaréEdouard HerriotAristide BriandPaul PainlevéEdouard HerriotFrédéric François-MarsalRaymond PoincaréAristide BriandGeorges LeyguesAlexandre MillerandGeorges ClemenceauPaul PainlevéAlexandre RibotAristide BriandRené VivianiAlexandre RibotGaston DoumergueLouis BarthouAristide BriandRaymond PoincaréJoseph CaillauxErnest MonisAristide BriandGeorges ClemenceauFerdinand SarrienMaurice RouvierEmile CombesPierre Waldeck-RousseauCharles DupuyHenri BrissonJules MélineLéon BourgeoisAlexandre RibotCharles DupuyJean Casimir-PerierCharles DupuyAlexandre RibotEmile LoubetCharles de FreycinetPierre TirardCharles FloquetPierre TirardMaurice RouvierRené GobletCharles de FreycinetHenri BrissonJules FerryArmand FallièresCharles DuclercCharles de FreycinetLéon GambettaJules FerryCharles de FreycinetWilliam Henry WaddingtonJules DufaureGaëtan de RochebouëtAlbert de BroglieJules SimonJules DufaureLouis BuffetErnest Courtot de CisseyAlbert de BroglieJules Dufaure

프랑스국/자유 프랑스 (1940-1944)

페탱 정부1940년 6월 22일 휴전 협정을 채결했다. 같은 해 7월 10일 비시에서 국회가 열려 페탱 장군에게 전권을 위임하는 투표가 이뤄졌다. 다음날 페탱은 자신을 "프랑스 국가수반"으로 칭하는 입헌권를 행사하여, 이후 1944년 8월 20일까지 국가수반직을 맡게 된다.[1] 페탱은 더 이상 공식적으로 국무회의 의장이 아니었으나, "행정권의 전권"을 행사할 수 있음에 근거하여 이 직함 역시 유지하게 된다.[2] 국가수반은 "국무회의 부의장"이 보좌했으며, 이 직함은 이후 정부체제에서도 자연스레 유지되었다. 국가수반과 정부수반의 직무가 애매하게 혼동된 이 같은 상황은 1942년 4월 18일 헌법에 "정부수반"의 직무가 국가수반의 책임하에 "프랑스 대내외 정책의 효율적 지도"를 확실히 이행하는 것으로 공표될 때까지 이어졌다.

드 골 장군은 휴전에 반대하는 1940년 6월 18일 호소에 이어 런던에서 자유 프랑스 저항 조직을 이끌었다. 자유 프랑스는 제3공화국을 계승한 공화정이자 프랑스를 대표하는 유일한 정권이라 주장했다.[3] 완전한 정부는 1941년 9월 24일 프랑스 국가위원회(Comité national français; CNF)라는 이름으로 성립하였다. 1943년 6월 3일 연합국에 의해 프랑스령 북아프리카가 해방되자, 자유 프랑스는 알제에 있던 프랑스군 및 시민 총사령부(Commandement en chef français civil et militaire)와 통합하여 프랑스 국가해방위원회(Comité français de Libération nationale; CFLN)를 창립하였다. 처음에는 샤를 드 골과 앙리 지로가 국가해방위원회 위원장을 공동으로 맡았으나, 1943년 8월 4일 드 골이 유일한 위원장으로서 행정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위원회는 1944년 6월 3일까지 일 년 간 프랑스 식민지의 일부를 통치했으며, 이후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점차 해방되어가던 본토에서의 국권 행사를 위해 프랑스 공화국 임시 정부(Gouvernement provisoire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GPRF)로 명칭을 바꾸었다.

자세한 정보 자유 프랑스, 전시 프랑스 이후 프랑스 국가해방위원회 (CFLN), 프랑스국 (일명 "비시 정권" ) ...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1944-1947)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GPRF)에서는 1946년 10월 27일 헌법이 도입될 때까지, 그리고 1947년 1월 제4공화국이 출범할 때까지, 정부 수반과 국가 수반이 동일하였다.

명단

자세한 정보 이름, 내각 및 기간 ...

기간

Léon BlumGeorges BidaultFélix GouinCharles de Gaulle

제4공화국 (1947-1959)

명단

자세한 정보 이름, 내각 및 기간 ...

특이사항

기간

René CotyVincent AuriolCharles de GaullePierre PflimlinFélix GaillardMaurice Bourgès-MaunouryGuy MolletEdgar FaurePierre Mendès-FranceJoseph LanielRené MayerAntoine PinayEdgar FaureRené PlevenHenri QueuilleRené PlevenHenri QueuilleGeorges BidaultHenri QueuilleRobert SchumannAndré MarieRobert SchumannPaul Ramadier


제5공화국 (1959-)

명단

자세한 정보 이름, 내각 및 기간 ...

기간

자세한 정보 순위, 이름 ...
Emmanuel MacronFrançois HollandeNicolas SarkozyJacques ChiracFrançois MitterrandValéry Giscard d'EstaingGeorges PompidouCharles de GaulleJean CastexÉdouard PhilippeBernard CazeneuveManuel VallsJean-Marc AyraultFrançois FillonDominique de VillepinJean-Pierre RaffarinLionel JospinAlain JuppéÉdouard BalladurPierre BérégovoyÉdith CressonMichel RocardJacques ChiracLaurent FabiusPierre MauroyRaymond BarreJacques ChiracPierre MessmerJacques Chaban-DelmasMaurice Couve de MurvilleGeorges PompidouMichel Debré

특이사항

Remove ads

각주

참고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