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피온산
화합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프로피온산(영어: propionic acid)은 화학식이 CH3CH2CO2H인 천연 카복실산이다. "프로피온산"이라는 용어는 "첫 번째"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protos"와 "지방"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pion"으로부터 유래하였다. 프로판산(영어: propanoic acid)이라고도 한다. 프로피온산은 약간 체취와 비슷한 냄새 및 자극적이고 불쾌한 냄새가 나는 액체이다. 음이온인 CH3CH2CO2− 뿐만 아니라 프로피온산의 염 및 에스터는 프로피온산염(영어: propionate) 또는 프로판산염(영어: propanoate)으로 알려져 있다.
| |||
| |||
이름 | |||
---|---|---|---|
우선명 (PIN)
propanoic acid | |||
별칭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
ChEBI |
| ||
ChEMBL |
| ||
ChemSpider | |||
DrugBank |
| ||
ECHA InfoCard | 100.001.070 | ||
EC 번호 |
| ||
E 번호 | E280 (방부제) | ||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
UNII |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
성질 | |||
C3H6O2 | |||
몰 질량 | 74.079 g·mol−1 | ||
겉보기 | 무색, 유성 액체[1] | ||
냄새 | 맵고, 불쾌한, 썩은 냄새[1] | ||
밀도 | 0.98797 g/cm3[2] | ||
녹는점 | −20.5 °C (−4.9 °F; 252.7 K)[3] | ||
끓는점 | 141.15 °C (286.07 °F; 414.30 K)[3] | ||
−48 °C에서 승화함 ΔsublH | |||
8.19 g/g (−28.3 °C) 34.97 g/g (−23.9 °C) 섞일 수 있음 (≥ −19.3 °C)[5] | |||
용해도 | EtOH, 에터, CHCl3에 섞임[6] | ||
log P | 0.33[7] | ||
증기 압력 | 0.32 kPa (20 °C)[8] 0.47 kPa (25 °C)[7] 9.62 kPa (100 °C)[4] | ||
헨리 상수 (kH) |
4.45·10−4 L·atm/mol[7] | ||
산성도 (pKa) | 4.88[7] | ||
자화율 (χ) |
-43.50·10−6 cm3/mol | ||
굴절률 (nD) |
1.3843[2] | ||
점도 | 1.175 cP (15 °C)[2] 1.02 cP (25 °C) 0.668 cP (60 °C) 0.495 cP (90 °C)[7] | ||
구조 | |||
단사정계 (−95 °C)[9] | |||
P21/c[9] | |||
격자 상수 |
α = 90°, β = 91.25°, γ = 90° | ||
0.63 D (22 °C)[2] | |||
열화학 | |||
열용량 (C) |
152.8 J/mol·K[6][4] | ||
표준 몰 엔트로피 (S |
191 J/mol·K[4] |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510.8 kJ/mol[4] | ||
표준 연소 엔탈피 (ΔcH⦵298) |
1527.3 kJ/mol[2][4] | ||
위험 | |||
주요 위험 | 부식성 | ||
GHS 그림문자 | ![]() ![]() | ||
신호어 | 위험 | ||
GHS 유해위험문구 |
H314[8] | ||
GHS 예방조치문구 |
P280, P305+351+338, P310[8]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54 °C (129 °F; 327 K)[8] | ||
512 °C (954 °F; 785 K)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1370 mg/kg (mouse, oral)[6] |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PEL (허용) |
none[1] | ||
REL (권장) |
TWA 10 ppm (30 mg/m3) ST 15 ppm (45 mg/m3)[1] | ||
IDLH (직접적 위험) |
N.D.[1] | ||
관련 화합물 | |||
관련 카복실산 |
아세트산, 젖산,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타르트론산, 아크릴산, 뷰티르산 | ||
관련 화합물 |
1-프로판올, 프로피온알데하이드, 프로피온산 나트륨, 프로피온산 무수물 | ||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