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핀란드의 대외 관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핀란드의 대외 관계는 대통령의 책임이며, 대통령은 정부와 협력하여 외교 정책을 이끈다. 정부는 암묵적으로 국내 정책과 유럽 연합 내 의사결정을 책임진다. 정부 내에서는 준비 논의가 외교, 안보 정책 정부위원회에서 이루어지며, 이 위원회에는 총리와 최소한 외교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이 포함되고, 필요에 따라 최대 4명의 다른 장관이 포함될 수 있다.[1] 위원회는 필요할 때 대통령과 회의를 가진다. 외교와 관련된 법률은 의회의 외교위원회에서 논의된다. 외교 정책은 외교부가 집행한다.
각국별 대외 관계
아시아
대한민국
핀란드와 대한민국 간의 외교 관계 수립은 1973년 8월 24일에 시작되었다.
핀란드는 1973년 4월 13일에 대한민국을 승인하였다.
유럽
러시아
핀란드와 러시아와의 관계는 평화롭고 우호적이다. 핀란드는 연료와 같은 많은 상품과 생활 필수품을 러시아로부터 수입하며, 양국은 의견 차이보다 합의하는 사안이 더 많다.
스웨덴
핀란드와 스웨덴은 항상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이는 공유된 역사, 사회와 정치의 수많은 공통점, 그리고 긴밀한 무역 관계에서 비롯된다. 새로 임명된 외교부 장관은 첫 공식 방문을 스웨덴으로 한다. 핀란드 정치인들은 국제 문제에 대한 스웨덴의 반응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이후 행동의 기초로 삼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최종적으로 양국은 종종 이러한 사안에 대해 합의한다.
두 나라 사이에 불일치가 있었던 경우는 1920년대 초 올란드 제도 문제와 겨울 전쟁 동안 스웨덴의 비교전국 선언 정도였다. 핀란드와 스웨덴은 유럽 연합(EU)과 솅겐 조약의 회원국으로서, 양국 간 국제 여행과 무역이 자유롭다. 또한 양국은 북유럽 이사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스웨덴 국민은 EU/솅겐 조약만으로 보장되는 것보다 약간 더 광범위한 권리를 누린다.
에스토니아
핀란드의 주요 언어인 핀란드어는 에스토니아어와 관련이 있으며, 양국 사이에는 일정한 친족적 감정이 존재해 왔다. 핀란드인의 76%가 에스토니아를 방문한 경험이 있으며, 2004년에는 180만 명의 핀란드인이 에스토니아를 방문했다고 보고되었다. 핀란드와 스웨덴의 투자자들이 에스토니아의 가장 큰 외국인 투자자이다.[4] 핀란드와 에스토니아는 유럽 연합(EU)과 솅겐 조약의 회원국으로서, 양국 간 국제 여행과 무역이 자유롭다.
핀란드 정부는 1920년에 에스토니아의 독립을 승인하였다. 소련의 침공에 대응하여 외교 사절단은 사실상 철수되었으나, 에스토니아가 독립을 선언하면서 이 "일시적 장애"는 해결되었다. 양국은 1991년 8월 29일, 외교 관계를 복원하였다.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