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하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하솔
Remove ads

하솔(영어: Tel Hazor 또는 Chatsôr 히브리어: תל חצור)은 갈릴리호수 북쪽에 있는 군사 요충지였다. 하솔은 현재에 텔 엘-퀘다흐(영어: Tell el-Qedah)에 있다. 하솔의 왕은 야빈이라고 불렀다.

간략 정보 영어명*, 등록 구분 ...

지리

'강하다'는 뜻을 가진 하솔은 해변길을 이용하는 사람이 반드시 거쳐야 할 길목에 위치하고 있다. 남북을 이어주는 해변길이 서쪽은 갈릴리산지, 동쪽은 홀라 분지 늪지대 사이의 하솔을 지나게 되는 까닭이었다.[1]

성경

구약성경에 따르면, 하솔은 해변길 최고 요충지이기에 가나안 북부의 맹주 노릇을 하며 이스라엘을 대적하였고, 여호수아에 의해 불살라졌다.[2] 사사 드보라 때 다시 하솔이 이스라엘을 괴롭게 하였으나, 드보라와 바락에 의하여 망하였다.[3] 이후 이스라엘솔로몬 왕이 병거성으로 건축하였으며, 북이스라엘 아합왕 때 성을 재건하였다. 하지만 아시리아디글랏 빌레셀이 하솔을 점령하고 백성을 사로잡아 아시리아로 끌고 갔다.[4]

유적

요약
관점

한때 힉소스 왕조시절 성을 합치면 이스라엘에서 가장 크고 그 당시에도 가나안에서 가장 큰 성읍이였던 하솔에서는 가나안시대 왕궁과 신전이 발견되었다. BC 14세기의 기록인 아마르나 서신 EA 148에서는 두로의 왕 아비-밀쿠(Abi-Milku)는 하솔의 왕 압디-티르시(Abdi-Tirshi)가 "하비루 Habiru / 아피루 Apiru"와 연합하고 그들에게 땅을 내주었다고 파라오에게 보고하며, EA 228에서 하솔의 왕 압디-티르시는 자신이 하솔을 지키고 있다 말하여 파라오를 안심시키고 파라오에게 하솔과 자신을 대항하여 일어난 일들(하비루 또는 이웃 도시들에 의한 공격)을 기억하여 주기를 간청한다. BC 11세기 사사 시대의 제단이 발견되었고, 석상을 볼 수 있다. BC 13세기의 대규모 화재와 파괴의 흔적과[5] BC 18세기 문서가 발견되기도 했다.[1] 솔로몬시대에 세워진 마구간과 3개의 방이 딸린 성문도 발견 되었다. 아합 때 38m 깊이에 판 우물을 볼 수 있는데 오랜 세월 잔해 위에 건축되었음을 알려준다.

하솔은 기원전 2500년 무렵부터 기원전 2300-2200년까지 버려져 있었는데,[6] 이를 여호수아의 정복 전쟁과 연관시키는 학자들도 존재한다. 이들은 수정연대기[7]를 사용하여 고왕국 시대를 기원전 15세기까지 낮추거나 출애굽부터 성전의 건립일까지의 기간이 480년이 아니라 1480년[8]이나 그 이상으로 보아 출애굽을 기원전 26-25세기 무렵, 즉, 고왕국 시대의 사건으로 보고 있으며,[9] 해당 설에서는 예리코와 아이(Et Tell)가 기원전 26-25세기에 파괴를 경험했다는 것,[10][11] 그리고 MacGregor plaque, 제1왕조의 파라오 카아의 Abydos ivory tablet를 통해 고왕국 시대 이전부터 셈족 유목민들이 이집트로 노예나 포로로 끌려왔었다는 것 등이 근거로써 작용한다. 베냐민 부족(Binu-Jamina)이 이집트 제11-12왕조 시절인 고바빌로니아 왕국 시절(기원전 2000-1595년) 초기의 기록에서 메소포타미아를 위협하는 강렵한 유목민 부족으로 등장하고 심지어 우루크의 왕인 신카시드 왕(기원전 1801년 ~ 기원전 1771년)이 해당 부족 출신으로 기록된다는 것[12]은 적어도 출애굽이 기원전 2000년대 무렵보다는 이전에 발생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들은 요셉은 제3왕조의 파라오 조세르의 재상이자 최초의 피라미드를 세운 임호텝과 동일시한다. 참고로, 아랍 전통에서는 출애굽 당시 바로의 신하의 이름을 하만으로 언급하며, 그는 주로 기원전 26세기의 파라오인 제4왕조의 쿠푸의 신하이자 기자의 대피라미드를 세운 건축가 헤몬/헤미우누(Hemon/Hemiunu)로 식별되곤 하는데, 이를 바탕으로 보면, 출애굽은 쿠푸의 치세 동안 발생한 사건으로 볼 수 있다.[13] 또한, 제3왕조와 제4왕조 모두 아직 이집트에 전차나 말이 없었던 시절이지만, 성서 속 전차, 병서, 말 등에 대한 언급은 중세나 르네상스 시대의 성서 명화에서 성서 속 인물들이 유럽인의 복장이나 아랍인의 복장 등 당시의 복장과 물건들과 함께 등장하는 것과 비슷한 경우로 볼 수 있다. 구전되던 전승이 사본에 적히게 되거나 이전부터 전해 내려오던 사본이 새로운 사본으로 옮겨지던 과정에서 시대에 맞춰 독자들과 청자들을 위해 기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