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영천시의 역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본 문서는 경상북도 영천시의 역사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조선시대 이전

  • 삼한시대 부족국가 골벌국(骨伐小國)이 형성되었다.
  • 신라시대 절야화군(切也火郡)으로 칭하였다.
  •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임고군(臨皐郡)으로 개칭하고, 양주(현 양산시)에 속했다. 영현으로 도동현(道同縣), 임천현(臨川縣), 장진현(長鎭縣), 신령현(新寧縣), 맹백현(黽白縣)을 관할하였다.
  • 925년(신라 경애왕 2년) 고울부(高鬱府)로 개칭하고, 도동현, 임천현, 맹백현, 이지현(梨旨縣)을 관할하였다.
  • 940년(고려 태조 23년) 도동현·임천현을 병합하고 영주군으로 개칭하였다.
  • 995년(고려 성종 14년) 자사(刺史)를 두었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안동대도호부(현 경주시)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 1172년(고려 명종 2년)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 1383년(고려 우왕 9년) 영주(永州)로 승격하고,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Remove ads

조선시대 이후

1914년 이후

요약
관점

1914년 행정구역 조정

조선총독부령 제111호로 다음과 같이 행정구역이 정해졌다.

세부 내용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1914년의 행정구역

1914년 행정구역을 현재와 비교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6]

자세한 정보 1914년, 현재 ...

1934년 개편

1934년 개편으로 일부 면이 합면되었다.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이후 개편

1983년 행정구역
금호읍 도남동, 청통면 오수·쌍계동, 화산면 매산동이 영천시에 편입되었다.[7]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행정동(법정동)) ...

1986년 행정구역
화북면 삼창출장소가 화산면 귀호동을 편입하여 화남면으로 승격하였다.[9]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1987년 행정구역
임고면 언하·신기동이 영천시 동부동에 편입되었다.[10]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행정동(법정동)) ...

1989년 행정 구역
청통면 서산리가 영천시에, 화북면 용계·월곡리가 화남면에 편입되었다.[12][13]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행정동(법정동)) ...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