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하인츠 딜레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하인츠(한스) 딜레마(Heinz dilemma)는 윤리와 도덕 수업에서 자주 쓰이는 딜레마이다. 다음은 로런스 콜버그도덕 발달 단계에서 상용되는 버전이다.[1]

병에 걸려 죽어가는 여인이 있다. 이 여인의 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이 딱 한가지가 있는데, 우연찮게도 같은 마을의 약사가 얼마전에 개발한 것이다. 이 약은 만드는데 200달러가 들지만 약사는 2000달러를 청구하고 있다. 죽어가는 여인의 남편 하인츠 씨는 돈을 있는데로 모으고 빌렸지만 절반인 1000달러밖에 모으지 못했다. 그는 약사에게 아내의 상황을 설명하고 나중에 남은 1000달러를 지불하겠으니 지금 약을 먼저 팔아달라고 요청했지만 약사는 자신이 만든 신약이니 자신이 돈을 벌어야 한다며 거절하였다. 결국 아내 생각에 간절해진 하인츠 씨는 약사의 연구실에 침입해 신약을 훔치고야 만다. 하인츠 씨의 절도행위는 정당할까?

이론적인 관점에서 볼 때, 관찰자에게 있어서 하인츠가 무엇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콜버그 이론에서는 관찰자가 제시하는 정당성, 즉 그들의 반응의 형태가 중요히 여겨진다. 다음은 여섯 가지 단계에 속하는 몇 가지 논의의 예이다.[1][2]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