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틀-호킹 상태는 3차원 리만 다양체
및 그 위에 정의된 양자장
들의 공간 위에 정의되는 범함수
이다. 이는 양의 우주 상수
에 대해서만 정의되며, 다음과 같은 경로 적분으로 정의된다.
![{\displaystyle \Psi [h_{ij},\phi _{0}]=\int _{g|_{\Sigma }=h,\phi |_{\Sigma }=\phi _{0}}Dg\,D\phi \,\exp \left(-\int _{M}dx^{4}\,{\sqrt {g}}\left(R+2\Lambda +{\mathcal {L}}[\phi ]\right)\right)}](//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912c45a6cfed21fb17b3807f4ba1600ba4034e03)
여기서
는 아인슈타인-힐베르트 작용이며,
는 다른 양자장들의 작용이다.
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4차원 리만 다양체
들에 대한 경로 적분이다.
는 (유클리드 부호수) 리만 다양체이다.
이다. 즉,
의 경계는
이며, 그 위에 유도되는 계량 (제1 기본 형식)은
이다.
이 경로 적분이 잘 정의되려면
이어야만 한다. 만약
이라면, 매우 부피가 크지만 작용이 작은
가 존재하여, 경로 적분이 발산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하틀-호킹 상태는 정규화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