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산업표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한국산업표준(韓國産業標準, 영어: Korean Industrial Standards, 약칭: KS)은 대한민국산업 전 분야의 제품시험, 제작 방법 등에 대하여 규정하는 국가 표준이다. 2011년 12월 기준으로 기본, 기계, 전기 등 21개 부문, 2만 3천여 종, 20만여 쪽에 이르며, 내용은 생산 현장, 건설 현장 및 시험, 연구 분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산업표준화법에 따라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기술표준원장이 고시한다.[1] 기호로는 로 나타낸다.

역사

  • 220년~240년: 삼국시대도량형 제도 실시로 농경문화 정착
  • 14세기: 토지제도가 실시되어 농지 측량에 를 사용, 측우기 발명으로 농업을 과학화하는 국가표준제도 기원
  • 1926년 2월: 조선 도량형 발표로 미터법 채택
  • 1949년 8월: 농산물 검사법 제정으로 농산물의 중량, 등급, 포장에 대한 표준화, 철도 등 공공사업 자체 표준화 착수
  • 1959년 9월: 병참 물품 표준서 제정
  • 1961년 9월: 공업표준화법 제정, 11월 상공부 표준국 설치
  • 1963년: “한국공업규격” 실시, IEC, ISO 국제기구 가입
  • 1973년 1월: 공업진흥청 개청으로 표준화 확대
  • 1977년 12월: 통일 단순화 명령제도 도입
  • 1982년 12월: KS 표시허가를 외국 시장에 개방
  • 1992년 12월: 공업표준화법을 산업표준화법으로 개정하여 국가표준 범위를 신소재, 신기술, 정보처리 등 전산업분야로 확대, “한국산업규격” 제정
  • 2008년 5월 26일: 산업표준화법 전면 개정에 따라 “한국산업규격”을 “한국산업표준”(KS)으로 명칭바꿈[2]
Remove ads

구성

  1. 제품표준: 제품의 향상·치수·품질 등을 규정한 것
  2. 방법표준: 시험·분석·검사 및 측정방법, 작업표준 등을 규정한 것
  3. 전달표준: 용어·기술·단위·수열 등을 규정한 것

법적 지위

  1. KS제도는 제조자가 자율적 의사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하는 자율인증
  2. 법률적으로 반드시 받아야 제조, 수입, 유통 판매할 수 있는 KC인증과 다름

분류 체계

자세한 정보 기호, 대분류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