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을 연구 및 개발하는 기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韓國敎育課程評價院,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KICE)은 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의 교육과정을 연구 및 개발하며 각종 교육평가를 연구 및 시행함으로써 학교 교육의 질적 향상 및 국가 교육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1998년 1월 1일 설립된 대한민국국무총리(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다.[1]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교학로 8 충북혁신도시에 위치해 있다.

Thumb
한국교육과정평가원(구)
간략 정보 설립일, 소재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韓國敎育課程評價院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설립일 1998년 1월 1일
소재지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교학로 8
상급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웹사이트 http://www.kice.re.kr/
닫기

설립 근거

  • 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설립·운영및육성에관한법률 제8조제1항 (민법준용기관)


주요 업무

  • 교육과정 연구·개발 및 교육평가의 시행

- 고교이하 각급 학교 교육과정의 연구
- 개발 절대평가 기준 및 문항개발과 문제은행 구축
-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및 국제 비교

  • 학교 교육 지원 사업

-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평가도구 개발·보급
- 교육과정과 평가에 대한 정보서비스 지원체제 구축
- 교육과정과 평가 전문요원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

  • 교과용도서 연구·개발 및 검·인정 업무

- 초·중·고 국정 교과용 도서 편찬 및 관련 연구
- 초·중·고 검정 교과용 도서 검·인정 업무
- 재외동포용 교재 개발·보급

  • 각종 국가 고사 출제 관리

-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연2회)
- 대학연구기관 전문연구요원 선발제도
- 고입·고졸 검정고시
- 고등학교 신입생 선발고사
- 초등, 유치원, 특수학교교사 신규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 중등교사 신규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 시.도교육청 전국연합학력평가 채점 및 결과 분석(수시)

연혁

  • 1994년 12월 3일 대한민국 총무처, 정부 조직개편 방안 발표 (국립교육평가원을 폐지하고 민간기관으로 전환)
  • 1995년 5월 31일 대통령자문교육개혁위원회, '교육개혁안 발표' (교육과정평가원 설치 방침 발표)
  • 1997년 8월 22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법] 공포
  • 1997년 12월 31일 국립교육평가원 폐지
  • 1998년 1월 1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개원
  • 1999년 1월 29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공포
  • 1999년 1월 29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폐지
  • 1999년 1월 29일 지도감독기관이 교육부에서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 연구회로 변경
  • 1999년 6월 14일 청사 이전 (서울 강남구 청담동 ▶ 서울 종로구 삼청동)
  • 2010년 4월 1일 청사 이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 서울 중구 정동)
  • 2018년 2월 5일 청사 이전 (서울 중구 정동 ▶ 충북 진천군 덕산면 충북혁신도시)

조직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감사
    • 감사실

부원장

  • 홍보출판실
  • 국제교육협력실
  • 대학수학능력시험본부
    • 수능기획분석실
    • 수능출제연구실
    • 수능운영부
    • 수능출제관리부
  • 기획조정본부
    • 연구기획실
    • 경영기획실
    • 성과평가실
    • 교육과정·교과서 본부
    • 교육과정연구실
    • 고교학점제지원센터
    • 교과교육연구실
    • 교과서검정센터
    • 교육과정지원부
    • 교과서검정운영부
  • 교육평가본부
    •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연구실
    • 국제학업성취도평가 연구실
    • 학생평가지원센터
    • 교육평가지원부
  • 교수학습본부
    • 교수학습연구실
    • 선행교육예방연구센터
    • 교수학습지원부
  • 국가고사본부
    • 고사운영부
  • 경영지원본부
    • 운영지원부
    • 인사부
    • 재무운영부
    • 구매계약부
  • 정보관리본부
    • 정보화운영관리부
    • 채점관리부
    • 자료·기록물관리부

개발시험

직원 평균 보수[2]

자세한 정보 구분, 2014년 결산 ...
2019년 1/4분기 직원 평균 보수 현황(단위: 천 원, 명, 년)
구분 2014년 결산 2015년 결산 2016년 결산 2017년 결산 2018년 결산 2019년 예산
기본급 51,013 52,747 53,965 55,252 56,957 59,322
고정수당 * 5,139 5,256 5,176 4,995 7,231 7,512
실적수당 * 0 0 0 0 0 0
급여성 복리후생비 254 331 418 403 107 157
경영평가 성과급 0 0 0 0 0 0
기타 성과상여금 14,998 25,667 15,984 21,732 22,117 16,323
1인당 평균 보수액 71,404 84,001 75,543 82,382 86,412 83,314
(남성) 0 0 0 81,544 85,408 80,028
(여성) 0 0 0 83,306 87,575 83,364
비 고 경영평가 성과급은 2019년도 경영평가 결과가 확정되지 않아 0으로 기재되었다.
상시 종업원수 263.75 265.25 261 265.83 262.50 253
(남성) 0 0 0 139.50 140.75 135
(여성) 0 0 0 126.33 121.75 118
평균근속연수 8.31 8.52 9.43 9.94 10.34 10.52
(남성) 0 0 0 9.94 10.39 10.46
(여성) 0 0 0 9.95 10.28 10.59
닫기
자세한 정보 구분, 2014년 결산 ...
신입사원 초임 (단위: 천 원, 명)
구분 2014년 결산 2015년 결산 2016년 결산 2017년 결산 2018년 결산 2019년 예산
기본급 27,133 36,827 36,827 38,738 39,936 39,936
고정수당 3,180 3,360 3,360 3,360 4,891 5,760
실적수당 0 0 0 0 0 0
급여성 복리후생비 200 200 300 300 0 0
경영평가성과급 0 0 0 0 0 0
기타 성과상여금 9,330 0 0 0 0 0
합계 39,843 40,387 40,487 42,398 44,827 45,696
닫기

노동조합[3]

복수노조 상태이다.

노동조합 명칭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한국교육과정평가원지부

노동조합 설립일 2013년 6월 3일
위원장 성명 정OO
임기 2019.02.03 ~ 2021.02.02
노동조합 가입범위 부서장 이상의 직책이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이익을 위한다고 판단되는 자를 제외한 전체 직원
가입대상 인원 359
조합원수 정규직(일반정규직) 75
비정규직 9
정규직(무기계약직) 0
교섭권 여부 없음
근로시간면제 현황 시간한도 1422 시간이내
풀타임 0
파트타임 1
전임자수 무급 0
상급단체 총연합단체 민주노총
연합단체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연맹
산별노조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노동조합 명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신노동조합
노동조합 설립일 2017년 3월 8일
위원장 성명 정OO
임기 -
노동조합 가입범위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이익을 대표하는 자를 제외한 직원 대상
가입대상 인원 359
조합원수 정규직(일반정규직) 2
비정규직 0
정규직(무기계약직) 0
교섭권 여부 없음
전임자수 무급 0
상급단체 총연합단체 미가입
연합단체 미가입
산별노조 미가입
노동조합 명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감노동조합
노동조합 설립일 2017년 3월 15일
위원장 성명 김OO
임기 2019.03.18 ~ 2020.03.17
노동조합 가입범위 원장, 부원장, 감사실장, 본부(센터)장, 총무부장을 제외한 근로자
가입대상 인원 357
조합원수 정규직(일반정규직) 90
비정규직 11
정규직(무기계약직) 2
교섭권 여부 있음 / 교섭대표노조
근로시간면제 현황 시간한도 2578 시간이내
풀타임 1
파트타임 3
전임자수 무급 0
상급단체 총연합단체 미가입
연합단체 미가입
산별노조 미가입

논란

  •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에 대한 편향 서술 관련한 정부 내부의 대책 문건 유출 논란으로 원장(김성동)이 사퇴하였다.
  • 2004학년도 수능 언어 출제 오류로 원장(이종승)이 사퇴하였다.
  • 2008학년도 수능 물리II 출제 오류로 원장(정강정)이 사퇴하였다.
  • 2015학년도 수능 영어와 생명과학II 출제 오류로 원장(김성훈)이 사퇴하였다.
  • 2017학년도 수능 한국사와 물리II 출제 오류로 원장(김영수)이 사퇴하였다.
  • 2022학년도 수능 생명과학II 출제 오류로 원장(강태중)이 사퇴하였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